"베토벤의 자연 묘사는 이날 ‘전원’을 연주한 평창페스티벌오케스트라가 무대 위 대신 객석에 배치된 이유다. 평창대관령음악제의 예술감독인 손열음은 “자연의 소리는 일방적이 아니고 입체적으로 들린다. 오케스트라의 자리도 달라야한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손 감독은 “원래는 연주자들이 청중 사이사이에 앉아 ‘전원’을 연주하고 싶었다”며 “하지만 코로나로 불가능해지면서 오케스트라가 무대 아래에서 연주하게 된 것”이라고 했다." "결국 청중이 오케스트라의 연주자들을 에워싸게 되면서 각 악기의 소리가 서라운드로 들려왔다. 특히 나이팅게일, 메추라기, 뻐꾸기를 차례로 표현한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의 소리는 무대 위에서 연주했다면 불가능했을만큼 생생하게 전달됐다." 왜 연주가들은 꼭 무대 위에서만 연주해야할까. 손열음 예술감독이 이끄는 평창페스티벌오케스트라는 이 낡은 관습을 깼다. 베토벤의 자연 묘사가 담긴 교향곡 '전원'이 입체적으로 울려퍼졌다.

손열음이 오케스트라를 객석에 앉게 한 이유는

n.news.naver.com

손열음이 오케스트라를 객석에 앉게 한 이유는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7월 27일 오전 11:1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테드(TED) 강의장에 황소가 등장했다. <생각의 공유> 저자 리오르 조레프는 청중에게 황소 무게를 예측해 보라고 제안한다. 그러자 140㎏에서 3t까지 다양한 오답이 쏟아졌다.

    ... 더 보기

    왜 공동체에 집단 지성이 필요한가?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왜 공동체에 집단 지성이 필요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