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로 고객 이해하기>
- 일단 시작해보자, 완벽하게 준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큐레이터의 생각]
강남언니 서비스의 실제사례를 통해 사용성 테스트 준비 과정부터 개선까지 상황에 몰입하여 읽을 수 있었습니다. 사용성 테스트가 제공하는 장점으로 즉각적인 반응과 고객입장에서 생각하는 태도를 들어주었는데요. 이처럼 사용성 테스트는 설문조사나 정량데이터처럼 정제되어 있는 자료와 달리 고객의 현실적인 반응을 볼 수 있는 장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해보며 '아~!' '아닌가?' 와 같은 즉각적인 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고객입장에 더 이입하여 고민해볼 수 있게 되었구요. 덧붙여 사용성 테스트를 잘 하기위한 핵심은 아티클 마지막 항목에 나와있는 '일단 시작해 보세요' 인 것 같습니다. 준비과정에 너무 공을 들이고 시간을 쏟기보다 일단 시작해보는 것이 내 가설을 검증하고 개선할 수 있는 빠른 방법인 것 같아요. 이 아티클을 참고하여 한번 시도해보면 어떨까요?
[🖌아티클 요약]
강남언니 프로덕트 팀에서 사용성 테스트(UT)를 진행하면서 얻은 인사이트를 블로그에 정리해놓았습니다. 강남언니 서비스의 '시술평가'라는 기능의 사용성 테스트를 준비하고 실행한 예시를 통해 구체적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하는 과정>
1. 테스트를 통해 확인하고 싶은 것 정하기 - 가설 정의
2. 테스터가 할 일 정하기 - UT 태스크 별 체크포인트 정하기
3. 테스터 정하기 - 인터뷰 대상자 정하기
4. 테스트 환경 구성하기 - 공간, 녹화, 음질 등의 환경 구성
5. 테스트하고 지켜보기 - 진행자의 의도가 개입되지 않는 질문구성
6. 공유하고 개선하기 - 서로 발견한 문제점, 인사이트 공유하고 제품 개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