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스킬만으로 전문가가 될 수 없는 이유

회사 내에서 대체 불가능한 사람과 전문성을 가지려면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해 고민을 많이 하는데요. 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께서 이와 같은 고민에 대해 실제로 현업에서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관련 영상이 있어 요약본을 공유드립니다. 🧘🏻‍♂️ 대체 불가능한 사람 전문가란 무엇일까? (린치핀) 사실 대체 불가능한 사람이란 건 없지만 조직에서 누군가가 빠졌다고 가정 했을 때 영향이 큰 사람은 분명히 있습니다. 즉 결국에는 조직 내에 영향력이 많은 사람이 대체 불가능한 사람 (전문가)입니다. 그러므로 조직 내에서의 영향력을 넓히려는 노력을 많이해야 합니다. 💁‍♂️ 전문성을 가진 사람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단순히 하드 스킬이 많은 사람이 아닌, 어떤 문제를 들고 갔을 때 그 문제를 폭 넓은 시야로 보고 회사 내부의 상황이나 비즈니스 맥락을 구체적으로 파헤치면서 해결하는 문제해결능력이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전문가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기술적 측면과 함께 큰 시각에서 비즈니스 문제를 볼 줄 아는 힘, 나의 인사이트를 팀 내에 관철시키는 힘, 잠재적 문제 상황을 예측하고 거기에 대비하는 역량이 중요합니다. ☝️ 태스크의 비즈니스 흐름 파악하기 물론 주니어 레벨까지는 주어진 일을 데드라인까지 완성도 높게 '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만 미드 레벨, 시니어 레벨로 갔을 때에는 단순히 태스크를 수행하는 것이 아닌 그 태스크의 비즈니스적인 흐름까지 파악 하는 시각이 필요합니다. 태스크 서비스의 오픈 맥락과 비즈니스적으로 어떤 가치가 있을지, 지금 이 시점에 왜 우리 회사가 이런 전략을 택했는지, 어떤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고 어떤 컨셉의 서비스가 들어가야 하는지, 이슈에 선제적 대응과 같은 조금 더 큰 그림을 그려보아야 합니다. ⛹🏻 다른 팀의 R&R 파악하기 이는 큰 틀에서 현재 회사가 나아가는 전체 방향을 이해하기 위함입니다. 각 팀에서 지금 어떤 프로젝트를 하고 있고 옆 부서에는 어떤 태스크가 새롭게 올라왔는지 그리고 어떤 이슈가 논의되고 있는지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더라도 파악하려고 노력해보세요. 이렇게 했을 때 회사의 전체적인 방향성을 파악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나에게 주어진 일의 목적과 비즈니스 목표를 설정하기에도 용이합니다. 또한 내가 진행할 프로젝트가 매출 향상의 목적인지, 고객 반응과 참여도의 목적인지 선제로 파악하기에도 좋은 습관입니다. 💃🏻 의사결정을 위한 옵션 제안하기 의사결정권자에게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옵션을 주도적으로 제안해보세요. 문제가 되는 이슈 사항과 함께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실무자 관점에서 기술적 대안을 몇 가지 정도 준비해서 각각의 장단점과 함께 생각하는 가장 좋은 방법을 제안해보세요. 이 과정에서 실무자와는 또 다른 C-level의 의사결정 기준을 살펴볼 수 있고 앞으로 나는 어떻게 의사결정을 할 것인가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내가 실무자의 시작으로 너무 지엽적으로 생각하진 않았는지, 우리 회사의 상황만 고려하고 전체 시장을 고려하진 못했는지 깨달을 수 있습니다. 💁‍♂️ 회사 바깥의 시장 공부하기 (비즈니스 통찰력) 재직하고 있는 회사, 속한 업계나 도메인만 생각하는 게 아닌 다양한 산업군에서의 움직임을 자주 살펴보세요. 특정 회사가 사업 부문을 확장한다고 하면 왜 확장하려고 하는 것인지, 흡수합병이 일어났을 때에는 어떤 비즈니스 전략으로 인해서 그런 의사결정을 한 것인지, 최근에 활발하게 나오고 있는 IT솔루션은 무엇인지 두루두루 살펴보려고 하세요. 서비스에만 집착했던 것과 달리 좀 더 큰 단위의 산업과 비즈니스의 흐름을 보게 되면 큰 그림을 보는 연습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시니어레벨에 도달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회사의 기술 부채에 아쉬움을 느끼는 것을 넘어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솔루션을 검토하고 사람을 채용하거나, 팀을 꾸리는 데에 앞장서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하드스킬만으로 전문가가 될 수 없는 이유 | 조직에서 대체 불가능한 사람, 린치핀

www.youtube.com

하드스킬만으로 전문가가 될 수 없는 이유 | 조직에서 대체 불가능한 사람, 린치핀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6월 26일 오후 3:28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