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과학적으로 확인된 창작의 희열 ㄷㄷ> 1. 미국 드렉셀대 연구진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창조적 사고와 행위는 뇌의 보상 회로를 자극해 중독성 약물을 먹었을 때와 비슷한 쾌감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다시 말해, 소위 말하는 '깨달음의 순간(aha moments)' 등의 창조적 통찰이, 인간의 기본적 즐거움에 반응하는 뇌 보상 체계의 폭발적으로 활성화시킨다는 것이다. 3. 그리고 이 보상 체계가 (한 번) 활성화되면, 그 원인 행위를 다시 자극하는 순환 강화 작용이 일어난다. 즉, 창조적 통찰로 뇌 신경 회로의 보상을 경험한 사람은 다른 걸 제쳐놓고 이러한 창조적 행위에 더 매달리게 된다는 것. 4. 많은 퍼즐 마니아와 추리소설 애호가, 궁핍한 환경의 예술가, 저임금 과학 연구자 등이 이런 부류에 속한다.

"창조적 통찰의 순간, 중독성 약물 맞먹는 쾌감 느낀다" | 연합뉴스

연합뉴스

"창조적 통찰의 순간, 중독성 약물 맞먹는 쾌감 느낀다" | 연합뉴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9월 11일 오전 5:1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스몰 데이터(Pandas)에서 빅 데이터(Spark)로!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29 • 조회 3,716


    포트폴리오, 리얼하게 시작하는 법

    <포트폴리오, 리얼하게 시작하는 법>

    ... 더 보기

    요즘 사람들이 가장 많이 AI를 활용하는 분야 Top 10

    1

    ... 더 보기

    How People Are Really Using Gen AI in 2025

    Harvard Business Review

    How People Are Really Using Gen AI in 2025

     • 

    저장 6 • 조회 900


    누구나 특정 회사에 들어서는 순간 느끼는 회사마다의 분위기가 있다. 가정도 마찬가지이다. 분위기가 엄해보이는 집, 까불까불한 집, 대화는 없어도 화목해보이는 집.

    ... 더 보기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사례뉴스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 

    저장 5 • 조회 536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청년미래플러스 사업, 이전에 공유했었는데요.

    ... 더 보기

    청년미래플러스 참여 재직자 1기 모집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청년미래플러스 참여 재직자 1기 모집

    일 잘하는 사람은 AI를 어떻게 쓸까?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