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VP보다 LMF(Language/Market Fit)

팀에서 고객 인터뷰를 앞두고 있는데, 좋은 인사이트의 글이 있어서 가져왔습니다


  • 스타트업들은 현재 투자시기 등을 고려했을 때 현재는 생존의 문제와 직결되기에 적은 비용으로 효과적인 움직임을 많이 만들어야한다.

  • 효과적인 움직임이라는 명목하에 MVP(제품)부터 만들 때가 있다. 이는 성급한 제품화 + 시간 비용을 많이 잡아 먹는다.

  • LMF는 잠재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그것을 사로잡는 묘사를 고객에게 전달하여 검증하는 방법으로 MVP보다 가벼우면서 효과적이다.

  • 고객의 니즈를 분석하고 제품을 만들기보다 이를 데모비디오 / 가입신청폼이 담긴 페이지를 활용하여 검증하면 MVP보다 빠르게 방향을 검증할 수 있다.


현재 유료화에 대한 가설검증을 하려하고 있는데, 제품을 섣불리 터치하기 보단 고객들이 돈까지 내면써 사용할 만한 유료서비스에 대한 LMF부터 찾는 것부터 팀에서 해보는 것이 어떤가 생각한다.

마케팅 채널 적합성, 수익성? 먼저 Language/Market Fit부터 검증하세요. | 매거진 입맛

매거진 입맛

마케팅 채널 적합성, 수익성? 먼저 Language/Market Fit부터 검증하세요. | 매거진 입맛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0월 23일 오후 2:2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혁신과장형 가짜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방안

    ‘혁신 과장형’ 프로젝트의 스폰서는 성장욕구가 강하고 프로젝트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 조직에 영향력이 큰 가짜 프로젝트를 리딩하기 위해서는 똑똑하고 조직에서 잘 나가는 사람이 그런 스폰서가 될 가능성이 높다. 똑똑하고 욕망이 강한 스폰서는 PM에게 매우 위험하다. 왜냐하면 그 스폰서에게 프로젝트는 본인의 성공을 위한 수단이기 때문에 PM을 논리적이면서도 강하게 밀어붙이기 때문이다.

    ... 더 보기


    클로드 코드 Max 한 달 사용 후기

    ... 더 보기

    클로드 코드 한 달 사용 후기

    K리그 프로그래머

    클로드 코드 한 달 사용 후기

     • 

    댓글 2 • 저장 7 • 조회 2,188


    한 장에 메시지 하나만

    

    ... 더 보기


    io.valkey.glide 의 장단...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Redis 라이센스 정책에 의해서 최근 io.valkey 에 대한 마이그레이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Valkey 는 Redis 7.4 미만 버전의 fork 서비스로 현재는 valkey 8.0 까지 release 되었지만, 저희는 아직 Valkey 7.2.x 로 테스트를 하고 있어요.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