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텐션은 그래프로 표현해야 진실에 가깝다]

리텐션이 중요한(!) 알람 서비스 데이터 분석을 하면서 저도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는데요. 리텐션은 단순히 '몇 퍼센트' 라는 단답형 정의가 가능한 지표가 아닙니다. 리텐션의 기준 행동을 어떻게 잡을지, 기간에 따른 리텐션 추이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단위 기간별 코호트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 등... 굉장히 많은 요소를 고려해서 사용해야 하는 지표라고 생각해요.

리텐션은 그래프로 표현해야 진실에 가깝다

Brunch Story

리텐션은 그래프로 표현해야 진실에 가깝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월 8일 오후 3:39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