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영석 PD가 말하는 좋은 예능 PD의 자질> 1. “영감의 원천은 동료입니다. 대부분의 크리에이터가 그럴겁니다. 혼자서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건 한두 번이에요. 탐구나 자료 조사가 아니라, (저는) 회의든 대화든 다양한 연령대 동료들과의 대화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요” 2. “(방송도 마찬가지입니다) 결국 ‘누구랑 뭘 할까’ 이 두 가지로 압축됩니다. 캐스팅이 절반인 셈이죠” 3. “대박 예감 같은 건 없습니다. 무조건 성공한다고 생각한적은 거의 없고 실패할 거 같은 데도 만드는 일도 없어요. 촉이 좋다기보다 익숙함과 새로움 사이에서 줄타기 잘하는 게 중요하다는 걸 아는 거죠. 나쁘지 않을 거야, 괜찮을 거 같아 그 정도 확신으로 프로그램을 만듭니다” 4. “(좋은 예능 PD가 되려면) 남의 이야기를 들을 줄 아는 편견 없는 귀, 편한 분위기에서 시의적절한 질문을 던지는 스킬, 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조율·통합해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힘 이 세 가지가 필요합니다” 5. “의외로 사람들은 진짜 자기 속맘을 잘 얘기 안 해요. 스트레스 덜 받는 타입, 일례로 대학 때 한 팀 프로젝트 때 초면인 다른 팀원들과 과제 하면서 스트레스 덜 받은 사람이 이 일과 맞아요. 하나 더 꼽는다면 예능 PD는 하고 싶은 프로그램을 만드는 게 아니라 대중의 니즈에 맞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사람입니다. 자기 꿈을 펼치려면 영화감독을 해야죠”

찬밥이던 예능 뜨거운 장르로 만든 스타 PD 나영석

인사이트코리아

찬밥이던 예능 뜨거운 장르로 만든 스타 PD 나영석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0월 5일 오전 7:1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우리가 음악에 중독되는 이유 (feat. 도파민) >

    1. 우리는 음악이 우리의 기대를 충족하고 우리의 기대를 위반 하는 방식에서 즐거움을 얻는다.

    ... 더 보기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807


    간만에 재밌게 읽은 기술 포스트

    ... 더 보기

    무진장 힘들었지만 무진장 성장한 개발 이야기

    Medium

    무진장 힘들었지만 무진장 성장한 개발 이야기

    올해로 개발자 생활이 햇수로 20년째다

    2005년 7월에 일을 시작했으니, 올해로 개발자 생활이 햇수로 20년째다. 중간에 공백이 조금씩 있었으니 꽉 채운 스무 해는 아니지만, 숫자가 주는 무게는 여전하다. 2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는 사실이 새삼 신기하게 느껴진다.

    ... 더 보기

    생각해볼 부분이 많은 chart

    우리는 이런 세상에 살고 있고, 이중 몇몇은 더 잘될것이고, 몇몇은 말이되는 multiple로 내려올것.


    절대 폭락하지 않는 투자처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