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디지털 웰빙 팀의 연구에 따르면 부모의 80%가 '뷰티 필터'에 대해 걱정하고 있으며 10대의 3분의 2가 셀카에서 어떻게 보이는지에 따라 친구들에게 괴롭힘을 당했다고 합니다. 미국 안면성형 및 복원수술 학회에 따르면 회원 중 72%가 셀카를 개선하기 위해 성형수술을 받는 환자를 보았는데 이는 전년보다 15% 증가한 수치라고 합니다. 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구글에서 필터와 셀카 등 얼굴 보정 기능에 대한 권장사항을 제시했습니다. <얼굴 보정 기능에 대한 권장 사항> 1. 기본적으로 기능 'Off' 상태 2. 가치 중립적 피드백: 'Beautification'이 아니라 'Face retouching'으로. 반짝임 아이콘은 펜 아이콘으로. 3. 투명성: 보정되지 않은 모습을 볼 때 괴로워하지 않도록 얼굴 리터칭이 적용된 시점을 명확히 표시하는 조치 4. 교육 및 인식: 보정 전/후의 스틸 이미지를 캡처한 후 비교할 수 있게 하기 5. 긍정적 자아상을 우선시하기 구글에서는 실제로 이 권장사항을 얼마 전 출시한 스마트폰 'Pixel 5'의 카메라 앱에 적용했습니다.

Finding wellbeing in filters and selfies

Material Design

Finding wellbeing in filters and selfies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0월 5일 오전 9:2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한때 천만원에 거래되었던 Manus, Bedrock 무료 오픈소스로 공개

    ... 더 보기

    LinkedIn

    lnkd.in

    LinkedIn

    서버 이미지 포맷 종류와 사용 기준

    ... 더 보기

    Server Image Format (feat. JPG, PNG, WebP)

    iOYES

    Server Image Format (feat. JPG, PNG, WebP)


    일 잘하는 사람은 AI를 어떻게 쓸까?

    

    ... 더 보기

    딥러닝/LLM 모델은 기본적으로는 Stateless한 상태지만, 대부분 프롬프트와 출력을 계속 되먹임하면서 작업을 이어가기 때문에 여러 턴으로 이루어진 태스크에서는 Stateful 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것을 In-context learning 이라고 합니다.


    ... 더 보기

    요즘 사람들이 가장 많이 AI를 활용하는 분야 Top 10

    1

    ... 더 보기

    How People Are Really Using Gen AI in 2025

    Harvard Business Review

    How People Are Really Using Gen AI in 2025

     • 

    저장 6 • 조회 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