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백엔드 개발자 취준 준비 중입니다.

6월 19일조회 109

https://enormous-weeder-1df.notion.site/1a24f81e3bb580a687b8fc345c46051f?pvs=74 이제 30살 전공자고, 검증파트에서 일하다 회사 사정으로 나와서 국비 듣고 개발자 취준을 다시 하는 중인데 아직 많이 부족한 것 같은데 어떻게 수정할지 방향성이 고민되네요. 개인적으로 한 포폴도 추가 안되어있긴한 상황인데 한번만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개인 1인 프로젝트 https://mlikway.co.kr/

이 질문이 도움이 되었나요?
'추천해요' 버튼을 누르면 좋은 질문이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어요. '보충이 필요해요' 버튼을 누르면 질문자에게 질문 내용 보충을 요청하는 알림이 가요.

답변 1

민우님의 프로필 사진

안녕하세요!! 처음 글 올리셨을때 바로 답변을 하고싶었는데 너무 말씀드릴게 많아서 지금 작성하네요! 한참 수정중 이신거 같군요. 제 답변 읽고 너무 힘빠지시지 마시길...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니 참고정도만 해주세요!(웬만하면 강하게 참고해주세요) 1. 첫번째에 나온 AI로 만든 사진 빼신거 아주 잘 하셨습니다. 요즘 이력서에 사진을 넣는게 트렌드도 아닐뿐더러 AI로 이상한 사이즈로 떡하니 있는게 너무 장난느낌(?)도 느껴졌어요. 2. 파란색 이상한 영어 폰트.. 에 핑크 메인 배경.. 흠... 입니다. 3. 본인 소개에 안정성, 테스트 이런 키워드를 강조할 짧고 간단한 스토리가 있으면 좋겠군요. 너무 그냥 뭘했는지 모를 큰 크기의 글자들 나열같은 느낌입니다. 4. 한국사 빼시고, 필기 합격하신 거 빼신것도 아주 잘하셨어요. 말도안되는 기록입니다... 자격증 그냥 다 빼세요 5. 디테일이긴 한데, 보통 학력관련 기간 적을때 3월에 시작하면 3월에 끝난다고 안적습니다. 졸업은 2월입니다...(중요한건 아닌데 뒤에 말할 내용이랑 같이 말할 포인트입니다 "불어") 6. 전 직장 회사 관련 내용옆에 무슨의미인지도 모를 사진은 왜있는지 모르곘습니다. 7. 프로젝트 4개를 나열해주셨는데, 서류 보시는 분들은 일일이 들어가서 보고 있을 시간 없습니다. 그래도 전 일일이 들어가서 봤는데 각각 피드백 드려볼게요. 8. 포켓트립 - 용어 사용 및 내용이 너무너무너무 비전문적인 느낌입니다. 컨트롤러 서버라던지, JWT 관련 내용이 너무.....흠....너무 란 말을 너무 많이쓰지만 너무 기초적인 내용이라 독이될 것 같아요. 어노테이션관련 내용도 그렇구요.. 이외에도 오타, 백틱 이런게 많이 들어간거 보니 AI로 다듬지는 않으신것 같네요. @RequestBody 는 인라인코드블럭에 넣으시고 @RequestParam 은 안넣으신거랑 리퀘스트 파람인데 리퀘스트 페람이라고 적어놓으셨어요. 종합: 전부다 빼야할 듯 9. 모임 - 트러블 슈팅 1번항목 첫번째 글머리 내용엔 ~습니다체, 두번째 항목엔 ~했다체, 너무 이런 디테일이 없어요. 타임존 관련내용도, 너무 기본적인 내용인데다가 5분이면 수정할 내용이 트러블 슈팅에 있는게 의아합니다. File 테그 - 파일 태그 -> 모음 통일성도 없고 영어 한글 마음대로 섞여있어요. 외래어 한국어 표기법에 따르면 태그가 맞습니다. 성과에서 테이블을 분해 했다했는데, 위에는 그런 내용이 부실하고(DB변경에 관한 내용인듯), 테이블 분해는 뭔가 컬럼로우 다쪼갠느낌인데 그게아니라 필드를 분리했다 라는 느낌으로 해야할것같은데 이것도 필요없습니다. 종합 평가: 기각 10. SONY 리팩토링 - 백엔드 개발자인데....... HTML, CSS, JavaScript.... 아무리 백엔드가 프론트를 어느정돈 알아야한다지만 너무 기본적인 내용을 이력서에 적기엔 공간낭비입니다. 특히 프로젝트내에 역할이 음향 제품의 역사 조사... 코드리뷰가 역할...? 터무니없습니다. 저건 그냥 교양으로 두셔야할 내용입니다. 종합 평가: 기각 11. 한끼출근 - 프로젝트 소개를 4문장으로 적어주셨는데 쉼표하나 넣고 한문장으로 소개가 가능할 것 같아요..ㅎNode.js 도 이력서에 Node js 로 띄어쓰기로 적는분 처음봤어요. 너무 포맷이 아무것도 없어요. 그냥 이력서가 아니라 일기같습니다. 그리고 데이터를 불어왔다 불어왔다 목록을 불어왔다. 마음이 불어터지는군요. 좋은 결과를 "불러오시길 바랍니다". 문장하나하나에 개발자다운 연구와 고민이 별로 안느껴져요. 아니 고민은 충분히 느껴지는데 그 레벨이 고등학교 코딩수업 때 할 피드백 레벨 같아요. 12. 스킬 부분 Notion, Slack, Figma - 못쓰는 사람없습니다. 이거 한줄 설명을 위해 1. ~ 이렇게 해서 공간낭비하면 안돼요. Java - 기초 문법, OOP, CRUD를 적어두시면 안됩니다....... JavaScript, TypeScript 위와 같음 라이브러리 -> 프레임워크로 변경하세요. 이건 말더 않겠습니다. 13. 깃헙/블로그 - 깃헙은 모르겠지만 블로그는 학술적/전문적이지 않습니다. 14. others 필요없을 것 같습니다. 15. 최종 종합 다~~~~~뺴셔야 할것같아요. 지금하시는 밀크웨이? 그거만 "제대로 된 트러블 슈팅" "제대로 된 기술적 의사결정" "제대로 된 분석과 정량적 향상 지표" "수치화" 를 포함해서 프로젝트 그냥 딱 하나 적으시고 자기 소개 파트 글자크기 ##랑 ###랑 #### 랑 구분해서, 그리고 본인 다녔던 회사에서 한 일을 개발자 백엔드 역량에 맞춰서 작성하고, 임팩트 한문장 + 설명 3줄 임팩트 한문장 + 설명 3줄 본인 스토리 2개 정도 적으시고 밑에 프로젝트 해서 2페이지 안으로 끝내십쇼. 제 답변을 읽고 기분이 나쁘셨다면 유감이지만 반박은 받지 않겠습니다. 대부분의 내용이 부트캠프 경험을 적으신 것 같은데 이렇게 제출하면 이력서 합격한다해도 면접자리가서 혼납니다. 혼쭐이날거에요...진짜에요... 혼내주는 회사도 없을거에요... 파이팅..입니다...!!

최연철님의 프로필 사진

최연철

작성자

인제대학교 컴퓨터공학6월 22일

감사합니다. 확실히 다른데서도 피드백 들었는데 풀스택 과정을 들어서 생긴 백엔드랑 관련 없는 내용은 빼야 한다는 의견이 많더라고요. 포켓트립이랑 지금 하는 밀키웨이 정도 만 놔두고. 포켓트립도 쓸거라면 내용도 개발자 적인 관점으로 바꾸고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AI 답변
커리어리 AI 봇 프로필 이미지

커리어리 AI 봇

GPT가 달아주는 답변입니다.

6월 19일

포트폴리오를 봤습니다. 기술과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이 잘 이루어져있습니다. 그러나 몇 가지 제안을 하고 싶습니다: 1. **프로젝트 세부 정보**: 각 프로젝트의 목적, 사용된 기술, 역할 및 성과를 보다 상세하게 작성하세요.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프로젝트를 시작했는지, 어떤 기술을 선택했는지, 그리고 이런 선택이 최종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개인 프로젝트**: 개인 프로젝트가 더 많으면 점수가 더 올라갑니다. 이렇게 하면 잠재적 고용주가 당신의 일관된 학습 경험과 독립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기술 스텍 그래프**: 사용된 모든 기술 및 도구에 대해 시각화된 그래프나 표를 포함시키면 좋습니다. 4. **깃 리파지터리 링크**: 가능하다면 각 프로젝트의 깃 리파지터리 링크를 포함시키세요. 이것은 고용주가 코드의 품질 및 작성 스타일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5. **개인 정보**: 본인을 소개하는 섹션을 만드세요. 역량, 경험 및 교육과 관련된 점들을 강조하고, 여기에 자신이 어떻게 그런 스킬셋을 갖추게 되었는지 이야기해보세요. 6. **문서의 흐름**: 포트폴리오 전체를 통해 일관된 스토리를 만들어 보세요. 당신이 어떻게 개발자로 성장했는지, 어떤 프로젝트를 수행하였고 그 경험이 어떻게 현재의 기술적 역량에 영향을 주었는지 설명하세요. 회사에서 QA 파트에서 경험한 것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좋습니다. QA에서 배운 테스팅 및 디버깅 기술은 백엔드 개발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목록으로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