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과 실무 지식중 신입 역량에 어떤 지표가 더 중요한지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제 경험상 기초 이상의 알고리즘을 풀 줄 안다면(leetcode easy 이상) 실무 지식이 많은 분들이 개발을 더 잘했던 것 같습니다. 기업마다 중요시하는 기준이 있겠지만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답변 6
인기 답변
저는 둘 중에 실무 지식이 압도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알고리즘은 이 지원자가 문제해결능력을 얼만큼 가지고 있는지 최소 허들 정도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기업이나 유명한 스타트업에는 지원자가 많아서 필터링을 더 많이 해야되기 때문에 알고리즘 문제가 어렵게 나오는 것이구요. 알고리즘은 딱 코테 합격할 정도만 하시고, 실무 지식을 기르는데 집중하시는 걸 권장드립니다.
익명
작성자
3월 3일
원종님 의견 감사합니다!
인기 답변
당연히 육각형 인재를 추천합니다만 육각형 인재인 신입분에게 알고리즘+1 이냐 실무+1 이냐 능력치를 줄 수 있다면 개인적으로 저는 알고리즘을 추천할 것 같아요. 이유는 실무는 질문할 수도 있고 알려줄 수도 있고 먼저 시작한 사람이 더 아는 경우가 있는데요, 신입분은 커버가 되지 않은 영역이 조금 더 갖춰져 있었으면 하는 바 입니다...!
익명
작성자
3월 8일
오.. 이런 관점도 있을 수 있겠네요..! 감사합니다!
인기 답변
먼저 제 생각을 먼저 말씀 드려 봅니다. -- -- -- 실무 잘하는 신입 : 코테도 잘 했음 (O) 실무 잘하는 신입 : 코테도 어느정도 했음 (O) 실무 못하는 신입 : 코테는 잘 했음 (O) 실무 못하는 신입 : 코테도 그저 그랬음 (O) -- -- -- 그리고 나머지 조심스럽게 의견 드립니다. 알고리즘 VS 실무 지식은 둘 중 택 1의 질문이 될 소지가 있는 것 같습니다. 신입의 역량을 판단할 때, 둘 중 택 1을 해야 되는 상황이 있을까요? 코테는 알고리즘 역량을 판단하는 과정일테구요. 심화 면접, 기술 면접 등은 실무 지식을 판단하는 과정일거라 생각이 들어서요. 다만 본문의 내용은 질문의 의도와는 조금 다른 것 같습니다. 알고리즘 지식이 실무에 어느 정도의 영향이 있는가? 에서 기본적인 알고리즘이 있으면, 실제 현업의 경험과 지식이 중요한 것 같다는 의도신 것 같습니다. 상관 관계나 인과관계를 보시는 듯 하기도 합니다. 아마 말씀 하신 의도가 신입의 역량 전반적인 것들과 몇몇 특징적인 것들을 아우르면서 생각하신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은 사실 너무 케바케 인 것 같아서 정말 어려운 것 같아요.
- 실무 지식 == 언어를 다루는 능력, framework(lib)를 다루는 능력, 개발 환경에 대한 이해, 인프라에 대한 이해 등등 - 알고리즘 == 자료구조/알고리즘 이렇게 정의를 해놓고 시작한다면 알고리즘을 잘하는 것보다 실무 지식을 잘하는 것이 실제 개발하는데 더 중요해요. 하지만, 그렇다고 둘 중에 하나만 하면 된다는 아니에요. 결과적으로 신입 면접을 위한 역량 기준으로는 자료구조/알고리즘에 대해서 컴공에서 배우는 기본적인 것들에 대해서는 개념적으로는 당연히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릿코드 미디엄, 하드를 30분~1시간만에 무조건 풀줄 알아야 한다던가 하는 그런 기준은 저는 그렇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진 않아요. 그리고 플러스알파로서 아직 경력은 없지만 개인/팀 사이드 프로젝트나 부트 캠프, 그 외 등등을 통해서 실무 지식을 쌓아가는 것이 좋을 거 같아요. 결국 어느 한쪽에 치우쳐진 역량만을 갖추는 방향으로 준비를 하시는 것은 좋은 방향은 아니에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 개발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