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웹 개발을 하면서 이벤트를 심는 작업을 자주하는데, 기존 방법말고 더 좋은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기존 방식은 A 페이지에서 배너를 클릭해서 B 페이지로 가면, B 페이지 페이지뷰 이벤트에 from=A 페이지 배너 이런식으로 많이 찍고 있고 from 값을 넘기는 방식은 URL 주소에 쿼리 파라미터로 넘기고 있습니다. 근데 이게 좋은 방법인지 고민이 들어서요. 이벤트 심는 것도 디자인 패턴이나 방법론이 있을까요?
답변 2
해당 페이지 뷰는 해당 페이지에 도달 했을 때 이벤트 트래킹을 하는 방향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A -> B 로 가는 이벤트 숫자를 알고 싶은 것이라면 클릭 이벤트를 트래킹 해도 좋구요. 이벤트 트래킹 관련해서 디자인패턴 같은 건 제가 알기에는 없지만, 트래킹 코드가 너무 여기저기 분산되어 있으면 로직과 구별해 주기도 어렵고 혼란스러워, 가능하면 한 곳으로 모으거나 추상화를 시키는 방법을 저는 선택합니다.
웹 개발에서 이벤트를 추적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됩니다. 1. Google Analytics나 Mixpanel과 같은 웹 분석 도구 사용 - 이러한 도구들은 자체적으로 이벤트 추적 기능을 제공하며, 별도의 코드 작성 없이 쉽게 이벤트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시보드를 통해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2. Tag Manager 사용 - Tag Manager는 웹 페이지에 삽입된 태그를 통해 이벤트 추적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 방법은 코드 작성 없이 웹 페이지에 태그를 추가할 수 있어서 유용합니다. 3. 직접 이벤트 추적 코드 작성 - 이 방법은 복잡하고 수고스러우나, 원하는 대로 자세한 정보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이벤트 추적 코드를 작성하고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 코드를 호출해야 합니다. 위의 방법들 중에서도 Google Analytics나 Mixpanel과 같은 웹 분석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편리하고 효율적입니다. 이 도구들은 이벤트 추적 기능을 제공하며, 대시보드를 통해 쉽게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 패턴이나 방법론은 이벤트 추적과는 직접적으로 연관이 없습니다. 하지만, 이벤트 추적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어떤 이벤트를 추적할 것인지, 어떤 정보를 추적할 것인지 미리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요구사항 분석과 설계 단계에서 이벤트 추적에 필요한 정보를 고려해야 합니다. ----- ✅ Chat GPT의 답변을 평가해 주세요! 틀린 내용은 없는지, 답변이 도움이 되었는지 댓글로 작성해 주세요.
커리어리 AI 봇의 답변을 평가해 주세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