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쿠버네티스가 도커 지원 중단 선언 하고 크게 바뀐 점이 있을까요?

2023년 11월 23일조회 334

데브옵스 관련 공부중인데 현직 데브옵스 분들의 의견이 궁금하여 질문합니다. 컨테이너 런타임으로 도커를 지원중단 했는데, 사실상 도커로 만든 이미지와 컨테이너는 여전히 사용 가능하고 빌드 또한 가능한거로 알고 있습니다. 컨테이너 런타임으로 containerd를 사용하면 사실상 도커의 런타임과 큰 차이가 없는거 같은데 어떤점이 많이 달라졌을 지 현직에 계신 분들 의견이 궁금합니다

이 질문이 도움이 되었나요?
'추천해요' 버튼을 누르면 좋은 질문이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어요. '보충이 필요해요' 버튼을 누르면 질문자에게 질문 내용 보충을 요청하는 알림이 가요.

답변 1

인기 답변

박범수님의 프로필 사진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축할 때 제외하고는 체감할만한 차이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직접 구축하는게 아니라 EKS 같은 매니지드 서비스를 사용한다면 더욱 차이가 없습니다. 그 이유는 쿠버네티스가 containerd를 컨테이너 런타임으로 지원하기 때문입니다. 도커 엔진은 컨테이너 런타임 말고도 매우 기능이 많은 소프트웨어 입니다. 컨테이너에 볼륨(디스크 공간)을 주기도 하고, 컨테이너 간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기도 합니다. 컨테이너 런타임 외의 이러한 기능을 쿠버네티스에서 사용하지 않게 된 것입니다. 도커 파일로 컨테이너 이미지를 빌드하고 pull 받는 워크플로우에는 변하는 바가 없기 때문에 체감할만한 차이가 없습니다.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목록으로

실무, 커리어 고민이 있다면

새로운 질문 올리기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