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백엔드 공부 방법에 대해서

2023년 12월 15일조회 383

이 질문이 도움이 되었나요?
'추천해요' 버튼을 누르면 좋은 질문이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어요. '보충이 필요해요' 버튼을 누르면 질문자에게 질문 내용 보충을 요청하는 알림이 가요.
profile picture
익명님의 질문

답변 1

인기 답변

Tetz님의 프로필 사진

먼저 잘하고 계신다는 것부터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사람은 각자 잘하고 못하는 부분이 있으며, 실질적으로 문제를 일으키는 사람은 자신의 단점 자체를 인지하지 못하는 사람이거나 자신의 단점을 알고도 무시하는 사람인 경우가 대다수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면에서 질문자 님은 자신의 단점도 잘 파악하고 계시며, 단점을 무시하지도 않고 개선하려고 노력하고 계시기 때문에 이것은 문제가 아니라 오히려 잘하고 계신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하나 문제 되는 것은 '주변 사람들 보다 뒤쳐진다' 라고 하는 어쩌면 한국인들이 가장 무서워하는 공포로 인한 조급함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좋아하는 월든 이라는 책의 구절에는 '그가 꼭 사과나무나 떡갈나무와 같은 속도로 성숙해야 한다는 법칙은 없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사과나무와 떡갈나무의 성장 속도가 다르듯 사람도 각자 다르기 때문에 모든 면에서 평균을 맞추려고 조급해 하시지 마시길 바랍니다. 대신 못하는 부분이 있다면 지금처럼 노력하셔서 배우시면 되는 부분이고, 잘하는 부분은 더 집중하셔서 자신의 장점으로 만드시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충분히 잘하고 계시니 너무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조급함으로 인해 자신의 단점만 바라보다가 장점을 못 보는 일만 없으시길 바랍니다. 화이팅!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AI 답변
커리어리 AI 봇 프로필 이미지

커리어리 AI 봇

GPT가 달아주는 답변입니다.

2023년 12월 15일

이해의 어려움을 느끼는 것은 아주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그래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몇 가지 제안을 드리고 싶습니다: 1. **모듈화와 계층화**: 대형 프로젝트에서는 코드를 모듈화하고 계층화하는 방식으로 복잡성을 관리합니다. 이는 연결된 기능들을 그룹핑하여 함께 재사용할 수 있는 모듈 혹은 패키지를 만드는 것입니다. 2. **디버깅과 로깅**: IDE의 디버깅 기능을 이용하거나 적절한 로깅을 통해 파일간의 연결과 데이터 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3. **UML 다이어그램**: 클래스 간의 관계나 시스템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면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기록과 문서 작성**: 프로젝트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 주요 기능, 클래스, 메소드 등에 대한 설명을 담은 문서를 작성하는 것도 추천합니다. 5. **트레이닝 프로젝트**: 간단한 개인 프로젝트를 직접 만들어 보면서 실습 경험을 쌓아가세요. 이를 통해 점점 더 큰 프로젝트에 적응하게 될 것입니다. 즉, 복잡한 시스템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구조를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코드의 구조와 로직을 이해하려면 비교적 작은 단위로 분해해서 접근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각 부분에서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그리고 전체 시스템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이해하려면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확실히 알지 못해도 괜찮습니다. 우선 작은 부분부터 시작하세요.

목록으로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