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JS는 {변수}로 사용하면 객체가 나오나요?

2024년 04월 22일조회 1,899

React를 급하게 독학하고 있는데 JS 문법에서 막혀서 여쭤봅니다. 강의들 찾아보면 {}를 사용해서 변수처럼 쓸 수 있는데 (ex. <div>{contents}</div>) 이걸 JS 표현식이라고 해서 JS 문법이라고 들었습니다. 일반적으로 객체를 변수에 할당시키면 리터럴이 아니라 주소가 담기잖아요. 왜 a를 찍는데 객체 리터럴이 보이고, {a}를 하면 객체 value로 객체가 들어가는 것처럼 표현되나요? 이 개념 찾아보고 싶은데, 뭐라고 검색해야 되는지 막막합니다... -------------------------------- let a = {a:"asfd", b:"erw"}; let b = "ast"; console.log(a); // 출력1: { a: 'asfd', b: 'erw' } console.log(b); // 출력2: ast console.log({a}); // 출력3: { a: { a: 'asfd', b: 'erw' } } console.log({b}); // 출력4: { b: 'ast' } 위 코드는 myCompiler에서 실행해봤습니다. https://www.mycompiler.io/ko/new/nodejs

이 질문이 도움이 되었나요?
'추천해요' 버튼을 누르면 좋은 질문이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어요. '보충이 필요해요' 버튼을 누르면 질문자에게 질문 내용 보충을 요청하는 알림이 가요.

답변 1

인기 답변

김하림님의 프로필 사진

JavaScript의 `{}`와 JavaScript 확장 문법인 JSX의 `{}`를 혼동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JS의 `{}`는 말 그대로 객체를 의미하지만, JSX의 `{}`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HTML로 표현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구문입니다. (참고: https://react.dev/learn/javascript-in-jsx-with-curly-braces) JSX는 마크업 작성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문법이기 때문에, 실제로 브라우저에서 JSX 문법을 실행하면 당연히 다른 결과가 나타납니다. 적어주신 `console.log({ a })` 코드는 `console.log({ "a": a })`를 축약한 형태입니다. 이 문법은 ES6에서 도입된 Object shorthand property 문법으로, 객체 리터럴의 key랑 value가 같을 때 가독성을 좋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ES6 이전엔 key와 value가 같더라도 두 번 타이핑을 해줘야 했습니다. (코드 참조) ES6 부터는 축약된 형태로 객체 리터럴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 문법 구조가 JSX의 Curly braces와 비슷해서 헷갈리신 것 같습니다.

1// ES6 이전
2const name = 'Smith'
3const age = 20
4
5const person = {
6  "name": name,
7  "age": age,
8}
9
10// ES6 이후
11const name = 'Smith'
12const age = 20
13
14const person = {
15  name,
16  age,
17}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목록으로
키워드로 질문 모아보기

실무, 커리어 고민이 있다면

새로운 질문 올리기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