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컴포넌트(hook) 설계 방법이 궁금합니다

2022년 10월 25일조회 492

물론 항상 케이스마다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component 혹은 hook으로 분리하는 기준이 있을까요? 대략 비슷한 ui나 로직 등을 직관적으로 분리하고 있는데, 좋은 기준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컴포넌트는 작은 단위로 나누면 좋은 것 같기도 한데, hook같은 경우는 깊이가 깊어지면 state 변경 추적도 어려워 함수처럼 설계하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이 질문이 도움이 되었나요?
'추천해요' 버튼을 누르면 좋은 질문이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어요. '보충이 필요해요' 버튼을 누르면 질문자에게 질문 내용 보충을 요청하는 알림이 가요.
profile picture
익명님의 질문

답변 1

성원님의 프로필 사진

컴포넌트와 훅은 기능상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저도 많이 고민하는 부분입니다. 예를들어 kakao 공유하기를 구현할 때 컴포넌트안에 비즈니스 로직을 넣어서 <KaKaoShare/>와 같이 만들 수 있고 useKaKaoShare라는 훅으로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저는 주로 Component -> jsx element 리턴등 렌더링관련 코드 hook -> 비즈니스로직 관련 코드 이렇게 구분해서 설계합니다. 따라서 컴포넌트에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을 두지 않고 커스텀 훅으로 분리해서 컴포넌트가 그 훅을 사용할 수 있도록 관심사를 분리하고 있어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목록으로
키워드로 질문 모아보기

실무, 커리어 고민이 있다면

새로운 질문 올리기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