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PO/기획자

PM / 서비스기획자 업무에 필요한 자격증

2022년 10월 30일조회 1,294

안녕하세요 : ) 서비스기획과 PM직무를 꿈꾸고 있는 사람입니다! 현재는 기획 쪽과 전혀 다른 업무를 하고있어.. 조금 막막하지만 장기적으로 꾸준히 PM이나 서비스기획 직무를 준비하고 싶습니다. 이를 위해서 업무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자격증이 따로 있을까요?! *그리고 추가적으로 PM이나 서비스기획자가 다른 직무에서 넘어오는 경우도 많다고 하던데 .. 혹시 어떤식으로 커리어 전환을 하셨는지 궁굼합니다 : ) 답변해주시면 정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질문이 도움이 되었나요?
'추천해요' 버튼을 누르면 좋은 질문이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어요. '보충이 필요해요' 버튼을 누르면 질문자에게 질문 내용 보충을 요청하는 알림이 가요.
profile picture
익명님의 질문

답변 4

인기 답변

정덕범님의 프로필 사진

자격증으로는 PMP 자격증 같은 것이 있긴하지만 이 부분이 채용에서 전혀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겠지만 절대적이진 않은 것 같습니다. 기획이나 PM의 채용에는 그동안의 경험이 더 중요하게 보고 있습니다. 현재 기획과 PM의 업무를 하지 않는다고 하셨다면 3가지 방법이 어떨까 싶습니다. 1️⃣ 블로그 : 서비스 분석, 해외 아티클 번역, UX/UI 트렌드 조사, 웨비나/세미나 참석 후기 등을 주제로 꾸준하게 운영해봅니다. 이러한 행위는 스스로 얼마만큼 기획이나 PM 직무에 많은 시간과 관심을 가지고 투자하고 있는지 증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글로 정리하면서 스스로의 기획, PM 역량도 조금씩 쌓여갈 수 있을 것입니다. 2️⃣ 사이드 프로젝트 : 현 직장에서는 기획이나 PM을 하지 못하더라도 사이드 프로젝트를 통해서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커리어리에도 '사이드프로젝트'가 있으니 참고하셔도 좋을듯해요. 1번과 다르게 실전에 가깝게 경험할 수 있습니다. 3️⃣ 커뮤니티 활동 : 기획이나 PM이 많이 가는 서비스들에서 커뮤니티 활동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해보세요. 저는 옛날 사람(?)이 된듯한데~ 제가 기획자의 길을 갔을 땐 네이버 카페 '웹만사'가 큰 기획자 커뮤니티였습니다. 커리어 전환의 사례는 제가 본 부분에서는 3가지 케이스였어요. 제가 직접 그 분들의 입장이 되어서 어떤 것을 시도했는지는 100% 알 수 없지만 옆에서 살펴봤을 땐 대략 아래와 같았습니다. 참고만해주세요. 1️⃣ CS 담당자 to 기획자 : 제품에 대한 높은 이해와 고객의 문제 캐칭 능력을 높이 사서 기획자로 전향된 케이스입니다. 주로 이 경우엔 제품의 복잡도가 높은 케이스에서 신규 직원을 뽑는 것보다 관련 부서의 담당자를 업의 변경이 더 빠른 케이스입니다. 설득하여 모셔(?)옵니다. 2️⃣ 개발자 to 기획자 : 개발보다는 기획에 흥미를 느끼는 케이스입니다. 아마 이 케이스가 IT에서는 제일 많을 듯해요. 현업에서는 개발에서 기획으로 전향은 생각보다 많이 볼 수 있고, 방법 자체는 부서 이동 요청이 제일 많았습니다. 3️⃣ 경영지원 to 기획자 : IT 서비스는 돈을 벌기위해 Billing이 존재합니다. 이 부분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으면 서비스 기획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 경우엔 회계를 담당하시는 분을 모셔(?)와서 기획으로 전향시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기획자/PM으로의 커리어를 응원하겠습니다!

psmon님의 프로필 사진

제 주위 커리어 전환하신분의 케이스에서는~ 서비스기획자분의 경우, 관련 서비스운영을 하시다가 전환한 케이스가 대부분이였던것 같으며 전환한 분의경우 문서능력보다 관련 도메인에 대한 관심또는 경험이 더 중요했으며~ 한가지 예로 은행업무를 경험한사람은 은행업무에 관련한 기획력이 높을수 있으며 기획자의 문서작성은 파워포인트능력이 요구될수 있지만 요즘은 액츄어,피그마를 포함 다양한 협업툴을 활용하는것 같습니다. PM의 경우 약간 다른케이스인데, 기획하면서 스케줄을 관리하는 역할을 어느정도 겸할수 있지만 기획이 비즈니스를 잘 분석하는 능력이라고 한다면, PM은 비즈니스의 가치를 개발자에게 전달하고 일정을 준수할수있게 끊임없이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할수 있게 도움을 주는 동시에 스케줄을 꾸준히 확인하는 역할을 한것 같습니다. WBS를 통해 리스크 관리포함 때로는 견적에도 관여해야 하기때문에 국내에서는 숙련된 관리자급 개발자가 전환하는 케이스가 많았던거 같으며 글로벌 플랫폼에서의 PM은 해외 오피스와 국내개발자를 잘 연결해야 하는 커뮤니티 이슈가 있었기때문에 이 분야의 PM은 대부분 IT이해와함께 다국어 커뮤니티 능력에 특화된 분이셨던것 같습니다.

임지훈님의 프로필 사진

안녕하세요 ! 저도 마케터에서 서비스 기획자로 직무 변경을 준비하고 있는 주니어도 아닌 거의 유치원생 pm입니다. 주변에 서비스 기획자/pm에게 자격증에 대해서 물어보면 전부 사이드 프로젝트나 자소서 등등 다른 얘기들을 해주었지만 저는 공부할 때 그거에 필요한 자격증부터 따야 공부하는 느낌이 드는 사람인지라 저도 자격증 하나하나 준비중입니다 ! 아무리 필요 없다고는 하지만 남는게 있는 공부니까요 ! 저도 제가 서칭해서 따로 정리해놓은 제가 따려고 하는 자격증 목록 적고 가겠습니다 ! 도움 되셨으면 해요 1. 개발 분야 정보처리기사 ​ 2. 디자인 분야 경험디자인기사가 있긴 함 ​3. UX 굳이 따지자면 사회조사분석사 ​4. Project Manager PMI의 PMP 자격증을 가장 많이 쳐주는 것 같다. (3년 경력과 교육이수 필요) ​5. QA CSTS, ISTQB ​6. 마케팅 검색광고마케터 1급 ​7. 데이터분석 GA 교육 이수하고 GAIQ 자격증 취득 ADsP (데이터분석준전문가) ​8. 도메인 관련 유통관리사

.님의 프로필 사진

제 주변에는 데이터 관련 자격증 여럿 따시는 거 같아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목록으로

실무, 커리어 고민이 있다면

새로운 질문 올리기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