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PO/기획자
개발하고 코드짜는것 보다 기획하는 쪽에 더 흥미가 생기고 일해보고 싶은 마음이 커져서요 혹시 이런 경우도 많나요? 서비스 기획 쪽도 포트폴리오가 필수던데 부트캠프나 국비교육을 수강하면 좋을까요? 비전공자입니다... ㅎㅎ
답변 2
안녕하세요 저도 개발자에서 기획으로 전향한 케이스인데요, 제 경험 상 부트캠프나 국비교육을 듣는 것보다는 현업에서 기획 문서나 일하는 방법을 잘 관찰하시고 기획도 같이 하고 싶다고 어필해서 몇 번 기획업무를 서포팅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부트캠프나 국비교육은 기본 중 기본을 가르쳐주는 느낌이라 사람에 따라 큰 도움이 안 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교육을 듣는다고 퇴사하고 다시 취준하는 것보다는 현재 회사에서 부서 이동 등을 신청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익명
작성자
2024년 11월 26일
감사합니다! 근데 제가 다니는 회사가 워낙에 작은 회사고, si라 제가 접할 기회가 없더라구요 ㅠㅠ 혹시 어떻게 전향준비하셨는지, 개발자에서 기획으로 전향하면 유리하게 봐주는지도 궁금하네요 .. ㅎㅎ
제가 익숙하지 않아서 뭔가 대댓글은 작성이 안되나보네요. 답글 하나 더 남겨드립니다. 저의 경우 SI 회사를 다닌 상태에서 전향한 것이 아니다보니 도움이 안될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제 이야기를 짧게 남기면, 전 인하우스에서 개발하던 도중 기획안 없이 개발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고, 다른 개발자 분들과 스펙을 정하는 과정에서 정리가 안되서 제가 직접 문서화를 했는데 그 내용이 제품 기획안과 굉장히 유사하게 만들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제가 따로 준비했던 것들은 유튜브나 주변 지인들에게 어떤 내용이 들어가야 하는지만 집중했던 것 같습니다. 그 내용이 결국 제품의 방향성(고객의 니즈)과 사람을 설득하는 근거가 있었다보니 제안을 받았던 것 같구요. 우선 SI를 하고 계시다면 고객을 직접 만나 요구사항을 스스로 분석하는 일부터 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개발자에서 기획으로 전향한다고 무조건 유리하게 봐주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개발 경력도 짧고, 개발 스킬이 떨어지면 더 마이너스로 애매하다는 평가를 받게 됩니다. 결국 개발자일 때 스펙과 성과를 바탕으로 잘할지 말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보니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기획자로 문제 해결하는 능력이 얼마나 있음을 어필하시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