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전 · 익명 님의 질문
(여성공학인 재직자 무료 교육) CAREER-UP, 변화와 실무를 잇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사)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가 주최하고 한국공학대학교가 주관하는 여성공학인 직무교육 사전 접수를 안내드리오니,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교육대상: 중소·중견기업 재직 중인 여성공학인 ※ 공학 전공자 & 관련 직무 종사자 📅 교육기간: 2025년 8~10월 (온/오프라인) 💡 주요 내용 · 산업기술 변화와 트렌드 · 데이터 기반 관리 전략 · 생성형 AI 활용 · 기술 사업화 💰 교육비 전액 무료! 📍오프라인 교육 시 호텔 식사 제공🍽️ (8.21(목), 9.11(목) @안다즈 서울) 🕓 신청 마감: 8.20(수)까지 (선착순 모집) 📞 문의: 한국공학대학교 중소기업훈련지원센터 (031-8041-1703, 1706) 👇 교육 신청은 아래 링크 or 포스터 QR 접속! https://naver.me/x9zQd1we
개발자
#직무교육
#여성공학인
#데이터기반
#생성형ai활용
답변 0
댓글 0
조회 20
11일 전 · 익명 님의 질문
[생성형 AI x 금융 고객 상담] 대기시간, 요약, 응대까지 모두 바꾸는 ‘SmarTalk’ 런칭에 대한 고찰.
은행 상담 연결까지 3분 기다렸는데, 결국 내가 처음부터 다시 다 설명해야 했던 적… 한두 번 아니죠? 안녕하세요 저희는 그런 불편함을 해결하는 ‘상담 대기시간용 생성형 AI 챗봇 서비스’를 만들고 있습니다. 📌 어떤 서비스인가요? 고객이 상담을 기다리는 동안 텍스트나 음성으로 질문을 남기면 AI가 질문을 요약·정리해서 상담사에게 ‘한눈에 보는 요청서’로 전달해줍니다. 🤖 그래서 뭐가 좋아요? ✔️ 반복 설명 없이 바로 핵심부터 상담 ✔️ 상담사가 먼저 준비하고 대화 시작 ✔️ 대기 시간도 아깝지 않은 상담 경험 💡 현재 MVP 개발을 위한 테스트 중입니다. 많은 분들의 피드백을 받고 싶어요! 📬 관심 있으신 분은 아래 링크에 이메일을 남겨, 수요 파악을 위해 도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링크] https://hanaro-gilt.vercel.app/
PM/PO/기획자
#ai상담
#금융서비스
#생성형ai
#ux기획
답변 0
댓글 0
조회 10
한 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안녕하세요 AI전공 재학중인 대학생 3학년 진로 고민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기권 대학 AI학부 재학중인 3학년 학생입니다. 현재 진로 방향적으로 고민에 있어서 연락 드립니다. 가독성을 위해 순차적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개발 방향 설정 현재 교내 랩실에 약 1년간 상주하며 주로 백엔드 위주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 특성 상 인공지능 위주의 수업을 들으며 웹앱 프로젝트를 진행하니 연결이 되지 않는 듯한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백엔드 개발자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만 프론트,백엔드같은 것들은 대체될 수 있다는 것도 많이 보고 결국은 AI쪽을 건드려야 하나 고민중입니다. 백엔드 전망이 어떤지, 머신러닝 엔지니어 방향은 어떤지도 궁금합니다. 2. 생성형 AI의 발전 사실 상 요즘 커서나 gpt같은 생성형 AI가 다 해줘서 솔직히 제가 뭘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검색하면 다 찾아주는데.. 현업에서도 생성형 AI를 사용한다고는 들었는데 현직자 분들은 어떻게 활용하시고 어떤 식으로 학습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3. 회사 방향 설정 이번 방학에 체험형 인턴을 알아보다가 느낀 것이 각 회사가 요구하는 것이 분명하다는 것입니다. 결국 제가 가고 싶지도 않은 회사, 갈 수 없는 규모의 회사의 학습을 한다면 효율적이지 않다고 생각했습니다. 중소,스타트업,중견,대기업/ 저는 중견기업이 목표입니다. 다만 요즘 취업난 때문에 경력 자체가 없으면 뽑지 않는다고 하여 처음 몇 년은 스타트업에서 실력을 쌓고 중견기업으로 가는 방법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현업자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면 티빙 백엔드에 가고싶다면 공고문에 나온 스킬들을 공부하는 방향이 있습니다. 4. 남은 기간을 보내는 방법 현재 3학년 1학기를 마치고 방학 2달이 중요한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방향 설정 없이 가는대로 가는게 제 성격 상 맞지 않는 것 같아 신중하게 고민하려고 합니다. 랩실에서 팀원들과 프로젝트도 쌓고 하지만 정작 남는 것이 없고 빨리 쳐내느라 급급한 것 같습니다. 먼저 개발,회사 방향이 설정되어야 그것에 대한 학습을 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공모전/자격증/대외활동/인턴/부트캠프/프로젝트 등 현업자분들은 어떤 것을 우선순위로 두는지 궁금합니다. 아 개인적으로 PM전망도 궁금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백엔드
#진로
#고민
#대학생
#머신러닝엔지니어
답변 1
댓글 0
조회 101
2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KAIT/과기정통부] ICT 이노베이션 스퀘어 디지털 신기술 교육과정 수강생 모집 (전액무료)
● 모집개요 안녕하세요.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입니다. 우리 협회에서는 AI·블록체인·데이터·빅테크 기술 활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전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전 교육과정은 국비교육과정으로 별도의 수강료가 없는 무료교육입니다. 2025년 제3기 교육생을 모집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과 지원 부탁드립니다. ● 지원자격 대학(원)생, 미취업자, 예비창업자, 직장인 등 디지털 신기술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 ● 기간 및 일정 모집 시작 : 2025.06.09 ~ ※ 모집 마감은 과정별 상이 ※ 신청자가 많을 경우, 조기마감 될 수 있으니 빠른 신청 필수 ● 교육내용 - 인공지능: 인공지능 관련 기술을 다루는 일반과정과 생성형 AI과정으로 구성 - 블록체인: 블록체인 작동원리의 이해 및 활용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구성 - 빅테크: 국내외 빅테크 기업의 선도적인 교육을 2단계로 구성하여 운영 ● 신청방법 홈페이지 내 교육 과정별 '교육신청서' 제출 ※ 홈페이지 링크 : https://seoul-ict.goorm.io ● 혜택내역 - 자립준비청년 우선 선발 및 보조강사 활동기회 부어 - 수료생 대상 직무관련 프로그램, 행사 등 초청 - 취업준비자 취업 컨설팅, 채용정보 제공 ● 문의 aisw-edu@kait.or.kr / 02-580-0292
개발자
#무료교육
답변 0
댓글 0
조회 53
2달 전 · 프레드윰 님의 새로운 답변
백엔드 개발시 사용 할 생성형 AI 추천 부탁 드립니다
회사 차원에서 생성형 AI 결제는 무리인 것 같아서 개인적으로 결제해서 사용해보려 하는데 종류가 너무 많아 실무자분들 추천을 받고 싶습니다. 지금 백엔드를 주로 개발중이고(spring, django) 현재 jetbrain 의 ide 툴을 사용중인데 jetbrain 사의 ai assistance 를 사용하려 했다가 cursor 와 github copilot 을 많이 추천해주셔서 고민중에 있습니다.
개발자
#생성형ai
#cursor
#백엔드
#스프링
답변 1
댓글 0
조회 164
5달 전 · 포크코딩 님의 새로운 답변
CS 전공 4학년 진로고민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생성형 비전 ai를 연구 중인 전공자 4학년 학부 인턴입니다. 요즘 제가 생각보다 연구에 대한 끈기가 부족하다는 것을 깨달아서 (빨리 성과가 나오지 않으면 답답하고 몇개월을 갈아넣은 연구 성과가 학문/이론에서 그치는 것도 답답하더라구요) 랩실을 나오고 취준을 해볼까 고민 중입니다. 연구 자체가 엄청 거부감 들고 싫은건 아니지만.. 결국은 연구를 해도 나중에 리서처나 개발 직군으로 취업을 해야하는데 회사에서 리서치 직군을 애초에 많이 뽑지는 않는데 저보다 탐구/실험하는 과정을 정말 잘 하는 주변 사람들을 보며 제가 충분히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지 잘 모르겠더라구요... 지금 fe be ai 다 한 번씩 건들여봤는데 이 중에서 취업할만큼 전문성을 가진 분야는 없는거 같아요. 그래서 빠르게 결단을 내리고 랩실을 나오고 취준을 할지, 랩실에 계속 있을지 고민 중인데 취준을 한다면 fe/be/데이터분석+데이터 엔지니어 중에 고민 중에 있습니다. (ai 엔지니어도 고려 중인데 학위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긴 하지만석사를 따는게 유리하다고 하네요. 그리고 MLOps 분야는 신입을 잘 안 뽑는다고 알고 있어서..) 결정을 내린 다음 대학원을 안 가고 취준을 한다면 1~1.5년 정도 한 분야에 더 집중할 생각입니다. 그리고 지금은 학사/석사 취업 모두 어느 분야를 취업하든 다 경쟁이 매우 치열한거 같더라구요... 만약 fe를 하게 된다면 제가 시각적인 것을 좋아해서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쪽으로 커리어를 쌓고 싶다는 생각이 있긴한데, 이게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FE는 제가 얕게나마 react, react native를 파본 경험이 있는데 화면에 보여지는게 즐겁긴 하지만 공들여서 만든걸 많이 수정할 때 좀 마음이 아팠던 경험이... 그리고 쏟아지는 기술들을 계속 배워야 한다는 것에 없지않아 피로감을 느꼈던거 같습니다. (그런데 이건 IT쪽이면 연구/개발 어느 분야든 똑같이 적용되긴 하는거라...) BE는 제가 django나 flask로 CRUD 위주로만 구현한..야매로밖에 경험을 안 해봤고 spring은 김영한님 강의 듣다가 중간에 너무 알아야할게 많은거 같아 포기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 + 데이터 엔지니어 같은 경우에는 통계 베이스/데이터 파이프라인 stack 기반이 부족해서 더 공부를 해봐야 할거 같습니다. 관련 공모전 경험도 아직 없고요.. ai 엔지니어 경험으로는 2~3개 정도 프로젝트 형식으로 flask로 ai 모델 서비스에 야매로 연결해본 경험이 전부입니다. (MLOps 역량을 가진 사람을 뽑으려는 추세인거 같은데 kubernetz, docker, 클라우드는 따로 또 공부를 해봐야 합니다) 결국에는 어떤 분야든 다 넘어야 하는 산이 있는 느낌이라 이에 대한 각오는 되어 있는데, 어떤 분야로 더 나아가는게 현명하고 후회없는 선택일지 너무 고민이 됩니다..ㅠㅠㅠ 어떤 직무든 다 힘들고 고된 점들이 있기에 제 성향을 고려하고 각각의 직무의 현실(?)을 보고 제가 이건 정말 오랫동안 하루종일 못 하겠다 싶은 같은 일들을 위주로 가지치기를 하면 좋을거 같다는 조언을 들었습니다. 그래서 각각 직무의 실제 업무 생활이 어떠한지, 그리고 실제 실무에서는 어떤 역량이 중요할지, 어떤 성향을 가진 사람이 어떤 상황을 감내해야 오래 버틸 수 있을거 같은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직간접적으로나마 아시는 각각의 직무에 대한 정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조언해주시면 제 스스로 현명한 선택을 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개발자
#진로
#커리어
#고민
#진로고민
답변 1
댓글 0
조회 225
9달 전 · 김수현 님의 질문 업데이트
선배님들 조언 부탁드립니다. AI or 반도체 설계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고민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현재 수도권 4년제 전자공학과 25년2월 졸업예정자입니다. 학점은 3.0 정도로 높은 성적은 아닙니다. 제 학점으로는 공채에서 경쟁력이 없다고 판단하여 처음에는 반도체 설계 쪽 부트캠프 과정을 고민하고 있었는데 AI 부트캠프가 많이 개설 되어있고 전망도 좋은거같아서 고민이 됩니다. 전공 과목을 수강했을때 AI과목에도 흥미가 있었습니다. 자동차 sw 부트캠프도 나와있길래 같이 추가해놨습니다 아래 질문 보시고 어떤 조언이든 해주시면 참고하여 잘 선택하겠습니다! 어떤 조언이든 부탁드려요 질문 1 반도체 설계 OR AI 어떤 쪽이 앞으로 조금 더 전망이 있고 취업하기에 어떤게 허들이 좀 더 낮은지 어떤걸 선택해서 방향을 잡고 준비를 해야할지 고민입니다. ----------------------------------------------------------------------------------------- 질문 2 6개월의 기간인 만큼 신중하게 선택하고싶은데 아래 4개 부트캠프 중에 어떤 부트캠프를 선택해야할지 고민입니다. SK네트워크&엔코아 AI 부트캠프 *취업지원 *훈련 목표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인공지능 LLM 모델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구현 방법을 습득하고, 응용 수준에서 활용성 높은 LLM 접목 Web Application까지 개발할 수 있다. Sk쉴더스 생성형 ai 활용 사이버보안 과정 *채용연계형 / 수료생 대상 채용 과정 진행 *훈련목표 ai기술을 사이버보안에 활용하여 빠른 보안대응을 수행할 수있는 사이버보안 전문가 양성 대한상공회의소 [Harman] 세미콘(semiconductor) 아카데미-반도체 설계 *취업지원 현대오토에버 모빌리티 SW *채용연계형 / 수료생 대상 채용 과정 진행 *교육과정 임베디드SW
개발자
#부트캠프
#사이버보안
#반도체
#반도체설계
#전망
답변 0
댓글 0
조회 110
일 년 전 · 도연 님의 질문
’생성형 AI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 인식‘ 에 대해 탐구하고자 합니다:)
안녕하세요! ‘생성형 AI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 침해 인식’ 에 대한 소논문을 준비하는 소프트웨어융합학과를 희망하는 포천고등학교 3학년 재학중인 학생 배도연입니다. 질적연구를 통한 면접법으로 소논문을 작성하려고 합니다. 관련 전문직 종사자분에게 관련 주제에 대한 4가지 질문을 드리려고 합니다. 1. 생성형 AI를 활용한 데이터학습 자료수집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 생성형 AI 활용을 통해 만든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관련 인식은 어떻다고 생각하시나요? 3. 생성형 AI 활용을 위한 데이터학습 자료 수집 관련 생각 하시는 저작권 개선 방안은 무엇이 있나요? 4. 생성형 AI의 발전은 어디까지 왔다고 생각하시나요? 답변에 응해주신다면 의미있는 소논문을 제작해 사회에 의미있는 결과를 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면접에 응해주시는 분들은 ( IT전문가, 30대, 여성) 과 같이 논문 내에 기재될 예정입니다.
개발자
#저작권
#생성형ai
#인공지능
답변 0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57
일 년 전 · 정진 님의 답변 업데이트
웹 서비스에 gpt api 연동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대학교 졸업 프로젝트로 생성형 AI(GPT API 사용)를 활용한 웹 서비스를 개발하려고 하는데요, 서비스에 인공지능을 접목시키는 것이 처음이라 전체적으로 프론트엔드(react), 백엔드(spring boot), AI를 어떻게 구성하고 연결을 해야할지 막막해서 질문 남깁니다 AI가 사용되는 핵심 기능은 사용자와 대화를 주고 받기 위해 실시간으로 질문 및 답변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고민 중인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gpt api 호출 코드를 python으로 작성 (프론트엔드(react) <-> gpt api 호출(python) <-> 백엔드(spring boot)) 2. gpt api 호출 코드를 spring boot 프로젝트 내에 작성 (프론트엔드(react) <-> 백엔드(spring boot)) 처음에는 답변 속도가 중요한 서비스인 만큼 1번이 더 나은 것 같다고 생각했으나, 이 속도 차이가 크지 않다면 차라리 API 호출 로직들을 한 프레임워크 내에서 관리할 수 있다는 것과 배포 등을 생각하여 2번 방법대로 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네요.. 전체적인 아키텍처 설계와 관련해서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react
#spring-boot
#gpt-api
답변 4
댓글 1
추천해요 25
조회 3,234
일 년 전 · 삭제된 사용자 님의 새로운 답변
SSAFY(싸피) vs LG DX School vs 네이버 부스트캠프
인서울 대학의 전자공학과에서 생성형 AI 관련 연구(이미지 생성)로 석사를 졸업 후 29살이지만 자신감이 부족해서 부트캠프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생성 개발자를 찾는 사람도 없고... 참 연구주제 선택이 후회되네요) 1. SSAFY: 데이터 트랙 / https://www.ssafy.com/ksp/jsp/swp/swpMain.jsp 2. LG DX School / https://dxschool.co.kr/ 3. 네이버 부스트캠프 AI 테크 / https://boostcamp.connect.or.kr/program_ai.html 위 세 가지 중 선배님들은 어떤 부트캠프를 추천하시나요? 그저 바람이지만 데이터사이언티스트 쪽이면 좋겠네요,,, 정보 및 고민: 1. 싸피의 데이터트랙은 이번이 첫 기수입니다. 따라서 정보가 전혀 없는데, 데이터사이언티스트 교육이 아닌 데이터엔지니어 교육일까 걱정이네요. 2. LG DX School또한 첫 기수인데, Java, Spring, jsp/servlet, Flutter이 커리큘럼에 있어 망설여지네요. 3. 부스트캠프는 AI 전문코스이며 CV, NLP, RecSys의 세 가지 선택지가 있습니다. 이미지 생성쪽이 없는게 아쉽네요,,
개발자
#부트캠프
#싸피
#lg
#네이버
#ssafy
답변 3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1,809
일 년 전 · 레인파파 님의 질문
Dataset 수집하는 것에 대한 고민[GPT model에 넣을 dataset 수집]
OpenAI API를 이용하여 기사의 키워드를 예측하는 생성형 AI를 만들고자 합니다. GPT 모델에 넣을 데이터셋도 GPT로 이용해서 만들면 과적합과 같은 문제가 클까요? 제가 만들 데이터셋은 기사 내용 content(700개이상)와 이에 대한 keyword를 csv파일로 만들고자 하였습니다. 데이터셋을 만드는 과정이 처음이라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잘 안잡히는데 도와주세요..!! 1. 사람이 keyword와 content를 작성하여 한땀한땀 데이터셋을 작성해야 한다 2. GPT가 알아서 content의 keyword를 예측하도록 하여 데이터셋을 만든다. (이 과정에서 과적합 같은 문제가 우려 됨) 3. 아예 어떠한 전처리 없이 기사(articles) 파일을 GPT 모델에 넣고 예측하라고 하기
개발자
#dataset
#gpt
#openai
#keywords-extraction
답변 0
댓글 0
조회 29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AI 인턴vs계약직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전 특정 도메인 엔트리레벨 AI개발자입니다. 제가 최근 두 기업에 오퍼를 받아서 고민중에 있습니다. 첫번째 기업는 중견기업 채용전환형 인턴(전환률50%)이며 생성형 AI 개발직군이고, 두번째는 공공기관으로 1년 계약직 AI개발 연구원입니다. 두 회사 중 어디를 갈 것인지 고민이 많이 됩니다. 첫 회사는 다양한 데이터를 다뤄볼 수 있어서 흥미로울 것 같은데 인턴이라는 직함이 추후 경력에 도움이 될지 고민스럽습니다. 두번째 회사는 제가 하던 일과 매우 일치하지만 매우 적은 급여에 너무 한 분야에만 매몰되는것은 아닌지 우려스럽습니다. 제 계획은 경력을 1~2년정도 쌓고 해외 취업을 하는 것이라 정규직에 대한 압박은 크게 없지만 어느 회사에 시작을 해야할지 판단이 어렵습니다.
개발자
#회사
#ai
#신입
답변 1
댓글 0
조회 245
2년 전 · 서반석 님의 질문
지금 AI 비즈니스를 시작하려면 어떻게 시작하는게 좋을까요.
뤼튼이나 생성형 AI로 만들어진 챗봇같은 어플이나 웹사이트를 개발하고싶은데 프로그래밍언어부터 배워야할지 아니면은 GPT스토어같이 이런 사이트나 앱 개발을 쉽게 만들어줄수있는 기회를 기다려야할지 잘모르겠어요 ㅠㅠ 도와주시면 사례해드리겠습니다.
투표
개발자
#ai-인공지능-웹-앱-사이트-딥러닝-javascript
답변 0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60
2년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속상합니다. 좋은질문과 나쁜질문이 무엇인가요?
오늘 유튜브 스트리밍으로 팁스타운에서 진행한 생성형 AI 활용방법에 대한 강연을 시청하고 있던 중 강연 막바지에 QnA 시간을 가지고 있었는데 속상한 일이 있었습니다. 질문에 태클을 거신 다른 유튜브 시청자분이 계셨습니다. 저는 한시간동안의 강연을 듣고 아래 4가지 궁금점을 유튜브 채팅방으로 질문했습니다. 1. chatGPT의 GPT4 모델의 비용이 저렴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영어 대비 한글의 토큰은 약 3배가 비싼 것으로 알고있는데 빌표자 A님의 팀에서는 이러한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어떤 방법들을 시용했는지 알 수 있을까요? 2. 발표자A님의 팀에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GPT4를 활용한 서비스에서 대용량 트래픽을 어떻게 처리했는지 궁금합니다. GPT4에서 반환하는 내용을 서빙하기 위해 에코 서버를 여러대 두고 로드밸런싱하는 형태로 운영하고 있나요? 아니면 다른 방법일까요? 3. 이미지 생성 AI가 종종 부적절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사례가 보입니다. 발표자B님의 팀에서는 사용자가 AI 에게 입력하는 부적절한 요구를 어떻게 필터링하고 관리하고 있는지 공유해주실 수 있나요? 4. 발표자 C님의 팀에서 AI를 테스트할 때 프라이버시 레이어, 정보보안 레이어, 윤리 레이어 등으로 나누어 꼼꼼하게 테스트하는 것을 보고 놀랐습니다. 레이어라는 것이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방식으로 이 레이어를 구성했는지 궁금합니다. 테스트를 하는데 사용하는 테스트 툴이 있다면 간단하게 소개도 해주실 수 있나요? 그리고 다른 시청자분이 저를 향해 이렇게 말씀해주셨습니다...(지금 생각해도 속상합니다...) [OOO님 너무 핑크프린세스같은 질문을 많이 하시네요. 이쪽 분야도 아무것도 모르는분 같은데 구글링해도 나올 내용들을 그저 "알려줘" 하시네요.] 저는 최근에 인공지능에 재미가 붙어 자연어 처리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사내에서 자연어 다중분류 모델을 만들고있고, 그만큼 구글링도 많이하고 chatGPT를 많이 활용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입니다. 여러분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제가 인공지능 분야에 지식이 전무한것은 인정하지만 저의 질문이 정말 핑크프린세스라고 취급받을 만큼 그저 알려줘하는 질문이었나요? 단지 실무에서 경험한 내용을 듣고싶었지만 저렇게 말씀하시는 시청자분을 보고는 낙담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질문을 받으셨다고 했을때 여러분이 생각하는 좋은 질문과 나쁜 질문의 경계가 무엇인가요?
개발자
#인공지능
#생성형
#좋은질문
#나쁜질문
답변 2
댓글 2
추천해요 3
조회 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