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nch

질문 1
해시태그 없이 키워드만 일치하는 질문은 개수에 포함되지 않아요.

일 년 전 · 해연 님의 새로운 댓글

Nextjs App router 동작 방식이 이해가 안됩니다.

https://nextjs.org/docs/app/building-your-application/rendering/client-components // 문서내용 Defining multiple use client entry points: You can define multiple "use client" entry points in your React Component tree. This allows you to split your application into multiple client bundles (or branches). However, "use client" doesn't need to be defined in every component that needs to be rendered on the client. Once you define the boundary, all child components and modules imported into it are considered part of the client bundle. =>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의 하위 컴포넌트들은 자동으로 전부 클라이언트 컴포넌트가 됨(use-client 명시할 필요X) 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첨부한 코드의 동작방식이 이해가 안됩니다. 예상 1. TestComponent가 클라이언트 컴포넌트(CSR)이므로 내부에 있는 HotEventList도 클라이언트 단에서동작할 것이다. 2. TestComponent를 ‘use client’로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로 만들었다. HotEventList에서는 useState등 CSR에 필요한 요소를 추가하더라도 ‘use client’를 추가할필요가 없다. TestComponent하위에 있어서 자동으로 클라이언트 컴포넌트가 되기 때문이다. 실제 1. HotEventList는 여전히 SSR로 동작한다. 2. HotEventList에 state를 추가하면 ‘use client’를 명시하라는 에러가 발생한다. 제가 어떤 부분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걸까요?

개발자

#next.js

#react

#ssr

#csr

#server-component

답변 1

댓글 1

조회 213

2년 전 · 이상선 님의 새로운 답변

회사에서 정적애셋관리 어떻게 하시나요?

일단 저희 회사는 next js를 사용합니다 제가 다시는 회사는 프론트엔드로 ABT를 많이 자주하는 회사인데 그럴때 마다 쌓이는 이미지 때문에 빌드가 느려지더라구요. 그래서 정적애샛관리 솔루션을 개발하는 작업을 맡았는데 다른 회사는 어떻게 관리하는 지 궁금합니다. 제가 했던 것은 public 폴더에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제거 더이상 public 폴더에 이미지를 쌓지 않기 위해 actions로 main branch merge 시 자동 s3 업로드 업로드 완료되면 public에서 삭제 이런 작업을 하고 있는 이게 맞는 것인가? 의문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개발자

#nextjs

#image

#public

#asset

답변 1

댓글 0

조회 154

2년 전 · 태희 님의 질문

mediasoup를 ELB 환경에 적용하여 배

안녕하세요 mediasoup를 이용해서 웹개발 프로젝트를 진행중인 백엔드 개발자 (초보자/갓 배우는중) 입니다. 말그대로 1:N 화상채팅이 포함된 기능을 구현중인데, mediasoup가 ELB배포환경에서 작동하고 있지않아서 여기에 질문올려봅니다ㅜㅠ 아래, 시도해본것과 상황 등을 정리해본 내용을 첨부합니다! 제가 뭘 더 확인해볼수있을까요ㅜㅠㅠ?? 답변주시면 정말감사합니다!! (현재 nodejs로 express이용해서 백서버 구성하고있습니다!) -------------------------------------------------------------------------------- [상황] -> 1:N 화상통화 구현을 위하여 mediasoup를 이용 -> local에서 잘 작동 -> docker 로 local에서 돌리면 잘 작동 (announceIP를 도커 기본 IP "127.17.0.1"로 작동) -> front-vercel배포, server-local 잘 작동 -> server에서 비디오와 오디오를 보내주고 있지 않는 상황 [예상하고있는 문제] -> mediasoup는 연결이 완료되면 2000-2020 포트로 video를 보내주는데, 이부분 포트가 안열리는게 아닐까? -> announceIP에 적절한 IP를 넣지 않아서 안열리는게 아닐까? [배포환경] alb application loadbalance + docker [열어본 port 2000-2100; 2000-2100/udp] - EC2 - Elastic beanstalk 리스너 - proxy (nginx) - docker [시도해본 예상 announce Ip] - EC2 publicIP - dockerIp [mediasoup 공식문서] https://mediasoup.org/documentation/ [참고한 mediasoup영상 및 깃헙] => 유트브 https://www.youtube.com/watch?v=oCzq82xVnkU => 깃허브 https://github.com/jamalag/mediasoup3 [현재 깃허브] https://github.com/4simsimhae/Back - mediasoup4 branch 입니다! [배포된 server 링크] https://simsimhae.store/ [mediasoup test URL] https://simsimhae.store/sfu/:roomId (같은 roomId면 화면이 공유되어야합니다)

개발자

#nodejs

#backend

#mediasoup

#elb

#webrtc

답변 0

댓글 0

조회 122

2년 전 · ㄱㅎㅁ 님의 새로운 답변

신입 프론트 개발자 9개월차 이직조언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프론트 개발자로 9개월째 일하고 있는 신입 개발자 입니다! 아직 1년도 되지않은 이시점에서 자꾸 이직 생각이 드는데... 이런 상황에서 이직이 맞는걸지 아니면 좀더 회사를 다녀보는게 좋을지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제가 처음 입사했을당시, 리엑트를 사용하는 신규 프로젝트를 하게 되었습니다. 신규 프로젝트인데 생각보다 규모가 크고 일정이 빠듯했기에 개발을 함에 있어서 다른 무엇보다 "속도와 일단 동작되도록" 에 가장 큰 초점을 두고 일했습니다. 당연히 일정을 맞추는게 가장 급한 일이었기에 코드리뷰같은건 꿈도 못꿨습니다. 테스트코드도 없구요. redux를 사용했지만, 제대로 상태관리를 하면서 사용하기보단, 그냥 거의 모든 상태를 useState로 관리하면서 props drilling이 생기는걸 지금은 당장 급하니 나중에 생각해보자고 하시더라구요. Style같은 경우도 일단 빨리해야하니 inline으로 다 작성하자고 하시더라구요. 이런 방식으로 개발을 빠르게 진행하고 프로젝트 배포를 했습니다. 물론 지금도 계속 배포 이후 버그를 수정중인데, 버그가많아 리팩토링은 계속 미뤄지고 있습니다. 이후 저는 리엑트가 아닌 플러터 프로젝트를 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처음 배우는 거라 혼자 독학으로 틈틈히 회사다니면서 공부했고 지금 기본적으로 레이아웃 잡고 api붙이고 하는 작업들을 하게되어 웹이 아닌, 크로스플랫폼앱 개발을 3개월째 하고있습니다. 리엑트할때는 사수(팀장)가 있지만 너무 바빠서 그냥 혼자 알아서 다 했던거같습니다. 가끔 여쭈어 보아도 그냥 혼자 해보라고만 하시더라구요. 그래서 고민을 더 해보고 이런이런 이유로 이렇게 코드를 짜서 이런 결과가 도출되길 바랬는데 저런 결과가 나왔다 근데 아무리생각해도 이런 논리가 제생각엔 맞는거같은데 어디서 문제일까요? 라고 물었지만 돌아오는 대답은 그냥 알아서 잘 해봐라 였습니다.. 그래서 그냥 6개월동안 거의 구글과 gpt한테 물어보면서 일을 했습니다! 다행히 앱개발에는 다른 사수분이 새로 들어오셔서 나름 잘 알려주시고 있긴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이직을 고민하게 된 이유는 먼저 개발적인 부분에서 - 코드리뷰 및 피드백 X - 상태관리 X - 디자인시스템 적용 체계 X - 코드컨벤션 X - git branch 분리 X (only main) - 사수(팀장) 있지만 바빠서 자기일만 함 (다들 혼자 일함) - 웹개발자로 취업해서 리엑트도 아직 숙달되지안은 상태에서 갑자기 플러터를 하게되니 이도저도 아닌 경력이 되버릴까봐 걱정됨 (물론 플러터 배우는게 재밌긴 함) 이런 점들이 있습니다. 이외에 비개발적인 부분의 이유도 좀 있지만 그냥 개발적인 부분만 고민했을때 지금 회사가 기술적이나 그런 부분이 발전에 도움이 될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ㅠㅠ 그리고 제가 9개월차로 리엑트 6개월 플러터 3개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 타회사로 이직하기에도 너무 애매하게 일을 해본거같아 그런점들이 고민됩니다.ㅠㅠ 그리고 그 흔한 상태관리, 스타일라이브러리도 못다뤘기에 이력서에 어떤식으로 써서 준비해야할지도 잘 모르겠고 고민만 늘어가고 있습니다.. ++)) 추가질문! 회사프로젝트는 private 레포인데 이력서에 깃헙주소를 넣을수는 없을거같은데 그럼 이력서에 회사프로젝트 내용은 어떤식으로 정리하면 좋을까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객관적인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이직고민

답변 1

댓글 0

조회 325

2년 전 · 달레 님의 답변 업데이트

git, github 브랜치 히스토리 관련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git, gitHub 사용관련해서 질문이있습니다. 사용 github repository에서 기능완성한 branch 를 지워주고, 로컬에서도 branch를 지 운후, 나중에 repository에 같은 이름으로 브랜치를 만들면 새로운 branch로 생성될까요 아니면 기존에 썼던 이력을 가진 branch로 생성되나요?

개발자

#git

#github

#branch

#history

답변 1

댓글 0

조회 126

일 년 전 · 손정현 님의 답변 업데이트

협업할 때 git 사용 방법

협업하는 과정에서 헷깔리는 부분이 있어서 글 남깁니다. 제가 feature/a라는 branch 작업을 하고 있는데 팀원의 feature/b branch가 develop에 merge 되어서 develop에 반영된 팀원 코드를 제 feature/a branch에 적용하고 싶을 때 feature/a branch에 checkout 해서 git merge develop을 해야 하나요? 그 다음 작업이 끝나고 난 뒤에는 develop에 checkout 하고 git merge feature/a를 하면 되나요? 그리고 혹시 직장에서 협업하는 방식이 어떻게 되는지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요~!!

개발자

#git

#github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3

조회 189

일 년 전 · 구현우 님의 질문 업데이트

제가 프론트엔드 취준을 잘하고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프론트엔드 개발자 준비하는 취준생입니다. 목표는 it 서비스 기업, 빅테크 기업입니다. 쉽게 말해 네카라쿠배입니다. 제가 현재 잘 준비하고있는지 객관적으로 궁금한데, 제 주위에 현업에서 일하시는 분들이 없어서 여기에 작성합니다. 1. 코딩테스트 현재 node.js로 준비 중입니다. 불편한 점이 없진 않은데 바꾸기엔 너무 익숙해져서 쭉 가고있습니다. 수준으로 백준 기준으로 골드 3-4는 기본적으로 풀고 그 위는 좀 고민을 많이 해봐야 풀리는 정도입니다. 2. 프로젝트 제대로 된 프로젝트 4개 해봤습니다. 전부 프론트엔드 및 ui&ux 디자인을 맡았습니다. 협업은 github으로 진행했습니다. 심도있게 사용하진 않았고 pullrequest, 코드 리뷰, merge, git branch, git flow 정도로 기본적인 것만 했습니다. 2.1. 교통 관련 프로젝트: 학부 생들의 교통편 관련 웹 서비스 였습니다. 두달 정도 운영했습니다. 2.2. 헬스 관련 프로젝트: 해커톤으로 준비했던 프로젝트인데 6-7 페이지 정도 되는 웹 서비스였습니다. 실제로 운영하진 않았습니다. 2.3. 전기차 관련 프로젝트: 해커톤에 나갈 용도로 전기차 충전 관련 웹 서비스를 개발했습니다. 실제로 운영하진 않았습니다. 2.4. 동아리 웹사이트 프로젝트 : 졸업 후 몸담았던 동아리 웹페이지 제작을 했습니다. 저는 아니고 후배들이 이어서 운영중입니다. 3. 수상 3.1. 교내 웹 개발 교육 봉사 활동으로 인한 최우수상 3.2. 전국 대회 해커톤 우수상 4. cs 지식 DB, 네트워크, 운영체제 같은 기본적인 cs 지식은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알아도 학부 때 배운 만큼 아니면 그 이하입니다. 5. 기술 스택 html, css, java, javascript, react 위 5개가 자신있게 사용할 수 있는 정도 입니다. 다만 리액트는 동작원리나 유용한 훅에 대한 공부가 필요해서 최근에 시작했습니다. 6. 계획 우선 알고리즘은 감을 잃지 않기 위해 매일매일 꾸준히 풀고있습니다. 지금 하고 있는 리액트에 대한 공부는 한달 반 정도 내에 끝낼 예정이고, 이후에 타입스크립트, 여유가 되면 Next.js까지 배워볼 생각입니다. 그리고 계획된 일정으로 취직을 하지 않는다면 제대로 된 프로젝트를 하나 더 할 것 같습니다. 7. 궁금한 점 제가 제대로 하고 있는 건지, 트렌드를 잘 따라가고 있는지, 아니라면 혹은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매워도 되고 차가워도 됩니다. 채찍도 좋아합니다. 솔직하고 객관적인 충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frontend

#개발자

#취업

#취준생

#react

답변 4

댓글 2

추천해요 2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2,779

3년 전 · 강준영 님의 새로운 답변

배포 공부중인데...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 맨날 react랑 next.js만 공부하다가 이번에 처음으로 aws ec2를 이용해서 배포 공부중인데... ec2 접속 후 저는 git clone 받는 과정에서 sudo git clone이 아니면 clone이 되질 않고, git관련 명령어 전부 sudo를 쓰지않으면 디나이 되는데 추가로 sudo권한을 부여해줘야하나요...?! sudo git clone으로 clone받고 프로젝트 위치로 들어가도 계정@현위치 옆에 branch가 안뜨는것도 이문제 겠죠...?😭😭

개발자

#백엔드

#프론트엔드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252

3년 전 · Benjamin Kim 님의 답변 업데이트

프론트엔드 개발자 이직 고민

안녕하세요. 이직 고민이 깊은 2년차 프론트엔드 개발자입니다. 저는 현재 이천에 본사가 있고 분당 사무실에서 근무 중입니다. 개발 회사가 아니라서 백엔드 하시는 한 분과 2년 가까이 힘들게 개발하고 있고요. 회사 업무로 꾸준히 Vue를 다뤘고, React와 TypeScript 등을 열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체계가 전혀 없기 때문에 그동안 좋은 개발 회사들을 참고하면서 체계를 잡아가려고 애썼습니다. 프론트엔드 팀이 아닌 혼자이지만, 회사 GitHub 팀 계정을 만들고, Git을 나름대로 feature 별로 branch를 나눠서 개발하고, Prettier와 ESLint 설정 파일 만들어서 관리하고... 그렇게요. 그러다가 최근에 분당에 있는 사무실의 계약이 끝나가서(8월 말) 9월부터 이천 본사로 출근하게 된다는 충격적인 소식을 접했습니다. 강남이나 판교가 아닌, 물류 회사들만 즐비한 이천으로 출근을 시작하게 된다면 커리어가 후퇴할 건 불보듯 뻔한 일이기 때문에 서둘러서 이직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코딩테스트는 지금 급하게 준비해봤자 한 문제도 제대로 풀지 못해서 과제 테스트를 보는 곳 위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행히 이력서를 꾸준히 업데이트 해와서 원티드, 프로그래머스, 리멤버 같은 채널을 통해 바로 지원할 수 있었습니다. 급하게 준비해서 본 기술 면접은 두 건이나 탈락했습니다. 몇주 전에는 서류 통과를 무난하게 했었는데, 최근에 지원한 기업은 계속 탈락하고 있습니다. 그 와중에 정말 열받는 건, 지원한 곳이 감감무소식일 때 앱을 확인해보면 불합격 알람이나 메일도 없이 [불합격] 탭으로 빠져있는 겁니다. 합격해서 면접까지 가는 곳과 불합격한 곳의 차이는 기업 내부 사정이니 그러려니 합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불합격이더라도 최소한 알림은 주는 게 지원자에 대한 예의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저는 지방 SI 회사 출신입니다. 2년간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이력서에도 경력란에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하고 싶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독학해서 수도권으로 이직했거든요. 면접은 답변이 부족하면 떨어질 수 있지만, 서류 탈락의 이유가 전 직장 때문인지도 의문이 들고 괜히 후회스럽고 요즘 마음이 싱숭생숭하네요. 서론이 길었네요. 저의 고민은 이렇습니다. 1. 이대로 면접 준비를 계속 하며 계속 계속 지원해본다. (프론트엔드 기본 지식을 숙련한다) 2. 퇴사하고 부트 캠프에 지원한다. 3. 코딩 테스트를 준비한다. 하향 지원하는 것은 바라지 않고 어떻게든 더 좋은 회사에 가서 더 좋은 실력과 함께 커리어를 쌓고 싶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답변 기다릴게요!

개발자

#경력이직

#서류탈락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8

조회 1,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