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안녕하세요 4학년 1학기 여름방학이 시작되었는데 앞으로 어떻게 할지가 고민입니다. 대학은 인서울은 아니고 국립대입니다 3학년까지는 백준골드찍고 CS과목 공부 열심히하고(Cs과목만 학점이 좋아요..) 열심히 놀았습니다 올해는 숨고(프리랜서 플랫폼)에서 쉬운 프로그램개발 외주받아서 용돈벌이하고 간간히 백엔드 공부하면서 학기에 정보처리기사 합격하고 학과 전공필수과목인 팀프로젝트에 열중했습니다 주제에 벗어나지만 팀프로젝트 이야기를 좀 적자면 팀을 잘못만났습니다 프론트 1 백엔드 2로 팀프로젝트를 했는데 프론트는 부트캠프, 리액트 경험이 있다더니 피그마밖에 할줄 모르고 백엔드 한명은 api명세서대로 하지않고 지마음대로 기능만 gpt써서 겨우 구현해놓는놈이여서 협업이 어지러워지고.. 그래서 혼자 백 스프링부트 혼자 전부다짜고 프론트도 피그마 준틀만 받아서 결과물은 crud떡작한 개인프로젝트가 되었지만 혼자 공공api사용해보고 git branch 관리도 해보고 git action으로 CICD구축, 도커, aws ec2,rds,s3,vpc~~ 클라우드등등 배포도 해보고 시스템아키텍쳐 부분으로 많은 경험을 해본것은 좋은거같습니다 다시돌아와서 여름방학이 되었는데 일단 방학에sqld, 리눅스마스터를 취득할계획입니다. (정처기 합격하더니 근자감 만땅임) 그리고 학과 형들 말로는 취업시장이 많이 어려우니 특히 백엔드가 진짜 어렵다고 하시더라구요 그래서 방학에 이력서라도 몇번 넣어보라고 하시는데(4학년 2학기는 취업계로 병행가능) 지금 팀프로젝트때 한 포토폴리오, 정보처리기사가 전부라 이력서에 뭐 내밀게 없는거 같습니다;; 이래서 방학에 따로 AI독학을 해두면 좋을거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AI개발로 개인프로젝트를 해볼까 고민중인데 혼자하면 또 망한프로젝트가 될거같네요ㅠ 아이디어도 없고 데이터구할 계획도 아직 하나도 없습니다…….. 이력서를 넣어볼지 혼자 역량을 더 키우는데 집중을 해야할지 고민입니다 선택과 집중을 잘하고싶습니다 경력자분들은 어떻게 보시는지 답변해주시면 많은 도움이 될거같습니다!
답변 3
버텨서 개발자로 살아남는 비율은 10% 정도로 낮은데여. 그 사람들이 원래부터 싹이 정해져 있다는 가정을 추가하면 팀을 잘못 만날 확률은 얼추 80%정도 되겠네여. 그래서 신입의 경우에는 처음부터 필요한 인력보다 좀 더 뽑은 다음에 점차 처내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거와 별개로 회사에 들어가면여. 어느 회사든지 간에 팀당 한두명 정도는 괴물 그자체가 있습니다. 그 몇몇 사람이 업무에 대부분을 이끌어가고여. 정작 업무에 투입되는 개발자는 많지만 회사에 프로젝트 퀄리티는 몇몇 소수에 의해 결정이 되여. 그래서 그런 개발자가 아니여도 취업은 합니다. 중간에 포기할 사람들도 취업하고여.
이력서를 넣고 면접까지 보는게 실력향상에 도움이 많이 됩니다. 저를 포함해 많은 사람들이 아직 본인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것이 맞든 틀리든 이력서 최대한 많이 넣어보시고 포트폴리오 작성하는 과정에서 의외로 내가 몰랐던걸 많이 배우게 되고 발전도 많이 합니다. 면접도 스킬과 경험이라 그거 자체가 공부하는것이라고 생각하면서 꾸준히 지원해보시길 권합니다.
가장 먼저 이력서를 한번 작성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그럼 적을게 없고, 프로젝트도 내세울만한게 없을 것 같고, 여러가지 생각이 드실겁니다. 가장 중요한건 자기 객관화를 먼저 하는거에요. 그 다음에 아래 조언들을 한번 참고하셔서 취업 방향성을 고민해보시면 어떨까 싶어요. 1. 백엔드 프론트엔드 가릴것없이 취업이 어려운 시장상황입니다. 2. 다른 경쟁자들과 차별화된 요소를 보여주려면, 자격증은 크게 메리트가 없습니다. 3. 팀프로젝트는 개발역량을 보여주는데 적합하지 않습니다. 4. AI를 활용해서 하나의 온전한 서비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개발해서 배포까지 해보면 상당히 앞서가게됩니다. 물론 쉽지는 않아요 AI활용관련 도움되실만한 아티클 남겨놓을께요 참고하시면 좋을듯합니다 https://maily.so/developerh/posts/32z8wpkvzn4 살아남는 개발자를 위한 생산성 200% 향상 도구 - 1편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커리어리 AI 봇
GPT가 달아주는 답변입니다.
7월 2일
포트폴리오와 자격증은 중요하지만,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서의 기본적인 능력과 지식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먼저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미 수업을 통해 얻은 경험이나 개인 프로젝트를 통해 필요한 기술들을 배우고 있음에 대해 축하드립니다. 여름방학 동안 SQLD와 리눅스마스터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하는 것은 좋습니다. 하지만 취업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것이 포트폴리오입니다.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여러분은 언어, 프레임워크, 데이터베이스 등 다양한 스킬셋을 습득하게 됩니다. AI 학습 관련하여 말씀하신 바에 의하면 이를 통해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할 계획이 만약 있다면 잘 선택한 방법일 수 있습니다. AI는 현재 많은 회사들이 찾고 있는 기술 중 하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런 유행하는 기술보다 더 중요한 것은 컴퓨터 공학의 기본에 대한 깊은 이해입니다. 즉, 취업을 위한 준비라면 포트폴리오를 다듬고, 필요한 기술 스택을 배우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력서를 작성하는 도중에도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 발견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또 다른 학습 방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인턴십도 고려해보세요. 실제 업무 경험은 여러분의 역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백엔드 개발자로서 시스템 설계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등의 경험은 매우 중요하므로 인턴십에서 이러한 경험을 쌓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항상 긍정적인 마인드셋을 가지고 도전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지금처럼 계속해서 자기 개발에 집중하고, 기회가 오면 잡으려고 노력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