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야 하는데 안 버려지는 버릇이 하나 있네요

코딩할 때 에러가 날 만한 상황을 상정해서

사전에 다 컷하는 버릇

문제는 에러가 나 줘야 문제를 알 수 있는 상황까지

다 컷 해버린다는것

문제가 있는데 아무 에러도 없지만 동작도 하지 않는

무서운 코드를 만들어 버린다는 것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4월 17일 오전 10:4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개발자로써 커리어 방향성을 못잡겠다면?

    ... 더 보기

    소프트웨어 유지보수성이라는 뜨거운 감자를 손에 넣는 법

    "

    ... 더 보기

    소프트웨어 유지보수성이라는 뜨거운 감자를 손에 넣는 법

    kr.linkedin.com

    소프트웨어 유지보수성이라는 뜨거운 감자를 손에 넣는 법

    혹시 Claude 나 cursor 등 AI 로 개발하실 때
    뭔가 AI 스러운 뻔한 디자인 때문에

    ... 더 보기

    LinkedIn

    www.linkedin.com

    LinkedIn

    이력서 노션으로 절대 쓰지 마세요.

    (다시 돌아온 노션 이력서 절기)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9 • 조회 2,534


    [ 너무 명확해서 소름 돋는 '라포랩스'의 조직 문화 ] '퀸잇'을 운영하는 라포랩스의 최희민 대표님 인터뷰입니다. 어떤 형태로든 조직에 몸을 담고 계신 분이라면 꼭 한번 읽어보시기를 권합니다. 왠만한 조직관리 서적 여러 권 보다 훨씬 낫다는 생각입니다. 특히 그 중에서 정말 인상 깊었던 문구들만을 추려 정리해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한 10번 읽은 것 같습니다.. 진짜 강추) * 인터뷰 내용에서 발췌했습니다. 01. 30명, 50명, 100명 기업의 규모에 따라 요구되는 리더십이 다릅니다. 30명까지는 회사의 생존을 위한 성장이 매우 중요하고, 50명부터는 위임이 중요하고, 100명 넘으니까 컬처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02. 신규 입사자, 즉 낯선 사람들이 많아지면 기본적으로 모든 사람들이 위축됩니다. 신규 입사자 역시 위축되어 있으니 조직 전체가 위축될 수 밖에 없지요. 편하게 자기 의견을 말하기 어렵고, 의사표현의 자유가 억압된다고 느낍니다. 그래서 신규 입사자, 즉 수습 기간 중인 구성원의 비율이 10-15%를 넘지 않도록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30명에서 50명으로 조직이 커질 때는 위계가 반드시 있어야 ... 더 보기

    X세대가 매월 100억원씩 쓰는 '퀸잇' 운영하는 라포랩스 "1:1 미팅이 동기를 부여하는 문화의 핵심"

    핵심가치 기반으로 평가를 진행할 수 있을까요? (1)

    X세대가 매월 100억원씩 쓰는 '퀸잇' 운영하는 라포랩스 "1:1 미팅이 동기를 부여하는 문화의 핵심"

     • 

    저장 126 • 조회 6,043


    이젠 Claude 모델이 그렇게 압도적으로 좋은 건 아닌데, Claude Code는 진짜 분명하게 좋음. 아마도 프롬프트가 잘 되어 있어서 그런 것 같음. Claude의 다른 프롬프트들은 공개해뒀는데 Claude Code용 프롬프트는 공개를 안해줌. 역시 아무리 투명하게 공개한다고 해도 진짜 좋은 건 다 기업비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