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LM이 어려운 문제는 잘 풀지만, 복잡한 문제는 잘 풀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복잡한게 어려운거긴 하지만 암튼)


그런 경우는 대개 의도에 대한 설명이 부족해서인 경우가 많고, 의도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복잡한 문제라도 잘 해결해준다.


인간의 장점은 역시 척하면 딱하고 해 준다는거. 그런데 이것도 얼마 안 남았다. 왜냐하면 그럴 수 있는 이유는 능동적인 질문에 있기 때문인데, 이건 LLM의 성능이 아닌 시스템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것이라서.


* 첨부 이미지는 고민 상담용으로 만들어 쓰고 있는 사주팔자GPT 😎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5월 4일 오후 1:2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개발자 취업을 위해 AI보다 먼저 챙겨야 할 것

    최근 취준생들을 멘토링하다 보면, 소프트웨어 개발 기본기는 뒷전이고 AI 코딩 도구만 열심히 파고 계신 분들을 자주 만나게 됩니다. 졸업까지 시간이 많이 남은 대학생이라면 AI 중심으로 미래를 준비하는 것도 충분히 좋은 전략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당장 구직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현재 채용 시장에서 무엇을 더 중요하게 보는지 한 번쯤 점검해 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