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능보다 중요한 세가지 능력
n.news.naver.com
전략 1. 브랜드 에셋을 활용하세요.
여러 요소들을 하나로 묶여 보이게 하려면 통일감이 중요해요. 하지만 자막의 기능 특성상 위치, 형태, 색상의 변동성이 높아서 일관성 있는 디자인을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채널 아트에 사용된 그래픽 요소나 브랜드 메인 컬러 등 다양한 브랜딩 요소를 자막 디자인에 적용하여 하나의 채널을 위한 브랜딩 요소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합니다.
전략 2. (강조형) 대사 자막 디자인시 : 감정을 표현할 때 공통 디자인 요소를 고려합니다.
기본형 자막은 디자인을 담기 위해 자막바를 활용하거나 디자인 된 폰트를 사용합니다. 강조형 자막은 효과적인 감정 표현을 위해 보다 더 다양한 폰트와 그래픽을 사용하기 때문에 브랜딩을 담아내기 적합하죠.
하지만 폰트를 10개 이상으로 사용할 경우, 자막들이 하나의 브랜딩 요소로 인식되기 어렵습니다. 폰트의 수가 너무 많다면 최소한의 브랜드 컬러를 사용하거나 유사한 그래픽 스타일을 적용해야 합니다.
전략 3. 보조 자막 디자인시 : 간결하고 직관적인 텍스트와 그래픽을 사용합니다.
전략 4. 설명 자막 디자인시 : 화면을 넓게 활용합니다.
장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경우 설명 자막을 사용합니다. 이 경우에는 텍스트 양이 많기 때문에 정보 사이의 위계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죠.
텍스트와 더불어 자료 이미지를 삽입하는 경우 다른 자막에 비해 화면의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는데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채널 아트의 일부를 꾸밈 요소로 활용하는 등 브랜딩 요소를 노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게시글은 ‘고구마팜’의 콘텐츠를 보고 영감을 받아 공유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원문을 읽어보세요 🙏🏻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6월 17일 오전 12:45
유튜브가 대세이다. 포탈 사이트에서 검색하던 사람들이 이제는 유튜브에서 먼저 검색하며, 한 해 수입이 수십 억에 달하는 유튜버들도 많다고 한다. 이런 분위기에 영향을 받아 필자도 콘텐츠 개발과 홍보 차원에서 유튜브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 더 보기첫 회사에서 5년 정도 보낸 후 대기업이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