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프리즈 서울에서 피카소가 사라진 이유는

서울을 새로운 아트 허브로 만들려던 프리즈의 계획이 성공했기 때문입니다


[아티클 3문장 요약📑]


1️⃣ 세계 양대 아트페어라 불리는 프리즈 서울이 처음 한국 진출하던 당시에 화제를 모았던 건, 피카소나 샤갈 같은 교과서에서나 보던 거장들의 작품을 선보이면서였는데, 올해는 이들이 자리를 비워 미술 시장이 침체된 것 때문이 아니냐는 우려 섞인 시선도 있었지만, 그것보다는 서울을 새로운 글로벌 아트 허브로 만들려던 프리즈의 전략이 이제 빛을 발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2️⃣ 우리 말로는 미술 장터라고 번역할 수 있는, 아트페어는 일종의 오픈마켓이기 때문에, 더 많은 판매자(갤러리)와 상품(작가와 작품), 그리고 고객(콜렉터)들을 모아야 경쟁력을 갖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리즈는 아시아의 갤러리와 작가들을 새로이 끌어들이려 했고, 지금처럼 서양 거장 대신 아시아 기반으로 활동하는 이들의 작품이 주류로 올라선 것은 본래 원하던 방향으로 흘러간다고 봐야 할 겁니다.


3️⃣ 특히 이러한 아트페어는 단지 미술계를 넘어서, 문화나 소비 트렌드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특히 프리즈가 공언한 것처럼 앞으로도 계속 서울을 키우려는 노력을 이어간다면, 앞으로 더욱 많은 기회가 우리를 찾아올 것 같습니다.


💡기묘한 관점➕

K-뷰티부터 K-패션, 그리고 K-푸드까지 최근의 국내 소비재 브랜드들의 글로벌 성과들은 결국 K-팝부터 시작된 문화적 흐름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처럼 문화 트렌드는 결국 소비 트렌드로 이어지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요. 프리즈 서울, 그리고 이를 공동 개최한 키아프 서울의 성장은 우리에게 있어 또 다른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미술 시장 자체 만으로도 상당히 큰 규모를 자랑하니까요. 혹시 아트페어가 열린다는 소식을 들으신다면 한번쯤 가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트렌드라이트 구독하기

https://bit.ly/3iSbx4e

올해 프리즈 서울에서 피카소가 사라진 이유는

www.openads.co.kr

올해 프리즈 서울에서 피카소가 사라진 이유는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9월 13일 오전 11:40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