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문화에 개성이 고려되어야 할까?

마이크로 컬처(Microculture)란?

마이크로 컬처는 조직 문화를 더 작은 단위에서 접근하는 방식입니다. 각 팀이나 지역 조직이 그들만의 일하는 방식과 행동 양식을 수립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조직은 ‘우리가 여기서 일하는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고, 구성원의 만족도와 리텐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딜로이트의 조사에 따르면, 마이크로 컬처를 도입한 조직은 그렇지 않은 조직보다 구성원 만족도가 1.8배 높고, 비즈니스 성과를 달성할 가능성도 1.6배 더 높다고 합니다.


마이크로 컬처를 장려하면 어떤 이점이 있을까요?

  1. 다양한 인재 확보: 마이크로 컬처는 조직이 다양한 인재를 유치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인 의료 조직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자율적이고 유연하게 일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어 필요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2. 비즈니스 성과 향상: 구성원이 일하기 좋은 조직은 더 나은 비즈니스 성과를 냅니다. 마이크로 컬처를 장려하면 리더는 팀의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3. 변화에 대한 민첩한 대응: 마이크로 컬처를 통해 팀은 자신만의 일하는 방식을 정의할 수 있어, 고객과 시장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NASA는 각기 다른 마이크로 컬처를 가진 팀들로 구성되어 있어, 높은 유연성과 효율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4. 구성원 리텐션 개선: 팀에 맞는 규칙과 프로세스를 통해 팀원들의 성장과 만족을 돕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본 게시글은 ‘flex’의 콘텐츠를 보고 영감을 받아 공유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원문을 읽어보세요 🙏🏻

조직문화에 개성이 고려되어야 할까? | flex 공식 블로그

flex.team

조직문화에 개성이 고려되어야 할까? | flex 공식 블로그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9월 18일 오전 11:4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코호트 분석, ‘시간’을 제대로 다루면 달라집니다 >

    "Age·Period·Cohort, 세 가지 축으로 해석하기"

    ... 더 보기

    팀장으로 승진하는 사람들이 현실적으로 꼭 알아야 하는 6가지

    1. 성공을 하기 위해 꼭 관리자가 되어야 하는 건 아닙니다 : 많은 사람들이 (직장 생활에서) 더 많은 돈을 벌고, 지위도 올라는 길은 승진해서 관리자가 되는 것, 하나뿐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비슷한 연봉을 받고, 비슷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또 그러면서도 전반적

    ... 더 보기

    < 세상을 바꾼 건 언제나 '비효율'이었다 >

    1

    ... 더 보기

    < 20년 전 시선으로 20년 뒤를 말하지 마라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 • 조회 260


    좋은 커리어는 자기 관찰에서부터 시작됩니다, 민음사 조아란 부장의 커리어

    1

    ... 더 보기

    www.folin.co


    인과관계

    

    ... 더 보기

     • 

    조회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