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플러스가 사회적가치를 분류하는 법, '소셜 임팩트 카테고리'를 소개합니다
Naver
1. 일어나서 잠들기까지 세상을 예민하게 바라본다.
평소에는 지나쳤을 당연한 이벤트들을 주의깊게 살펴본다.
2. 사람들이 불편해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괜찮은 아이디어를 노트에 적어 놓는다.
3. 그리고 해당 아이디어를 숙성시킨다.
운동 하면서 출근 하면서 산책 하면서 혹은 자기 전에 비판적인 자세로 아이디어를 이리저리 살펴본다.
해당 아이디어가 진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기능은 너무 많지 않은지, 단기간에 만들 수 있는지, 좋은 문제인지, 시장에 경쟁자가 있는지 있다면 어떤 차별점을 가져갈 수 있는 지 등등..
4. 숙성시키는 기간은 1주 ~ 1개월로 잡는다. 기간이 너무 짧으면 해당 아이디어가 그냥 좋아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너무 길다면 실행하기 힘들어진다.
5. 적당히 숙성시킨 나름 괜찮은 아이디어를 실제로 만들어 본다.
6. 위 과정을 반복한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0월 9일 오전 8:31
1. 성공을 하기 위해 꼭 관리자가 되어야 하는 건 아닙니다 : 많은 사람들이 (직장 생활에서) 더 많은 돈을 벌고, 지위도 올라는 길은 승진해서 관리자가 되는 것, 하나뿐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비슷한 연봉을 받고, 비슷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또 그러면서도 전반적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