ㅂㅂㅂㅂ

ㅂㅂㅂㅂ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2월 20일 오전 3:4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문제 해결형 포트폴리오란?

    📂 문제 해결형 포트폴리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3 • 조회 682


    구글이 (예상대로) A2A, Agent2Agent 프로토콜을 공개했네요.

    ... 더 보기

    회사에 지각하지 않기

    ... 더 보기

    회사에 지각하지 않기

    K리그 프로그래머

    회사에 지각하지 않기

     • 

    저장 4 • 조회 3,886



    타입스크립트 타입추론

    과거에 타입스크립트로 개발시에, 모든 타입을 일일이 명시해주었던 적이 있었는데요. 타입을 명시적으로 적어주는 것 보다는 타입스크립트의 타입 추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타입스크립트는 타입 추론을 꽤 똑똑하게 잘 하는 편이고, 수동으로 명시해야 하는 타입 구문의 수를 엄청나게 줄여주어, 코드의 전체적인 안정성이 향상되기 때문입니다. 즉, 타입 추론이 올바르게 된다면 명시적 타입 구분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가령, 명시적으로 타입 구문을 선언한 경우, interface 에서 해당 타입이 변경 된다면 명시적으로 타입 구문을 적어준 부분도 같이 수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그럼에도 명시적 타입 구문이 필요한 경우는 언제일까요? 1. 객체 리터럴을 정의한 경우 interface 를 사용하여 해당 객체의 속성을 명시적으로 적어주면 어떤 속성이 다르거나 누락되었을때 타입스크립트에서는 잉여 속성 체크를 해줍니다. 2. 함수의 반환 타입 함수의 반환 타입에 타입을 명시해주면, 함수 구현상의 오류를 타입스크립트 에서 잡아줍니다. 함수 내부의 오류를 잡아주기 때문에 함수를 호출한 곳에서 일어날 오류를 대... 더 보기

     • 

    저장 17 • 조회 2,841


    풀스택 개발자를 넘어서 풀스택 인생

    ... 더 보기

    풀스택 인생

    K리그 프로그래머

    풀스택 인생

     • 

    저장 8 • 조회 3,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