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Answer a System Design Interview Problem
blog.algomaster.io
최근 회사에서 일정에 치여 API를 개발하기도 하고, 운영하고 있는 스터디에서도 특정 피처에 대한 API를 개발하면서 "설계가 정말 중요하구나"라는 걸 몸소 느끼는 중입니다. 보통의 백엔드 개발의 경우 클라이언트를 "위해"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API를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어떤 기능이 필요한지, 파라미터나 api path 같은 기본적인 인터페이스는 어떤 것을 원하는지 (혹은 어떻게 제공할 건지), 사용자의 형태는 어떻고 어디까지 지원해야 하는지들을 협의하지 않고서 개발을 시작하다 보면 끝에 가선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무엇이 부족한지 살펴보는 등 빠르게 개발하려 했다가 오히려 리소스를 더 쓸 수밖에 없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테스트 코드 작성도 마찬가지)
완벽한 설계는 없지만 어느 정도의 설계를 했더라면 위에서 말했던 부분을 조금이나마 개선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다고 설계하는 데에만 너무 집중하다 보면 정작 개발하는 시간이 부족할 수 있겠죠. 개발하기 전에 얼마큼이나 설계를 하고 시작하는지 스스로 되돌아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blog.algomaster.io/p/how-to-answer-a-system-design-interview-problem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2월 2일 오후 11:26
여전히 나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생활할 때 가장 큰 변곡점이 오는 나이는 40세다. 물론 20대말과 30대 중반, 40대 중반, 50대에도 중간중간 크고 작은 변곡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시 돌이키기 어려울 정도로 이후 방향을 고착화시킨다는 의미에서, 혹은 현재 커리어패스가 중심이 아니라 이후 인생 2막이나 3막을 자발적이던 강제적이던 가야하는 상황은 아니라는 의미에서, 사회생활 시작과 함께 만들어온 커리어패스를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다는 기준에서 볼 때, 40세는 상징적이다.
60세면 당연히 할아버지, 할머니 소리를 들으면서 70세 전후에 죽는게 당연했던 불과 20여년 전까지만해도 예전의 40세는 일하고 있는 산업과 분야에서 전문성과 리더십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베테랑으로 이제 그동안 쌓아온 역량과 네트워킹으로 퇴직할 때까지
... 더 보기1. '바쁘다'는 건 열심히 많은 일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가
... 더 보기B
... 더 보기AI 기술이 우리 일상과 산업 전반에 스며들면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역시 큰 변화의 물결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코딩을 돕는 AI 에이전트의 등장은 개발 생산성에 대한 큰 변화를 만들고 있다. 나 역시 이러한 변화를 체감하며, 나에게 익숙한 소프트웨어 개발의 대표적인 두 축인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영역에서 AI 기술이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해 변화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역할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 본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