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은 왜 라면 세척기를 만들었을까

*해당글은 디지털인사이트 <2025 팬덤을 만드는 기업의 콘텐츠 마케팅 전략> 시리즈에 연재한 기고글에서 발췌했습니다. 


필자는 디지털 채널 간의 연계를 통한 브랜드 캠페인을 새롭게 시도해왔습니다. 그중에서도 AI 브랜드 캠페인 <코드네임 설리번>이 대표적입니다. 해당 캠페인은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블로그 등 기업의 온드 채널 간의 연계를 통한 통합 마케팅을 시도했습니다.


<코드네임 설리번>은 AI 컴퍼니로서의 브랜딩을 위해, ‘시각장애인을 돕는 AI’를 핵심 메시지로 설정하고 진행된 캠페인입니다. 당시 캠페인의 핵심은 ‘설리번 플러스’라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AI 앱서비스의 기능을 고도화하기 위해, 데이터 학습에 필요한 사진을 기부받는 형식으로 진행된 고객 참여형 디지털 캠페인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의인화 코드’를 적용한 캠페인 영상을 유튜브에 공개하며 ‘설리번 플러스’ 앱 기능에 대한 설명, 사진 기부 챌린지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와 화제성을 창출했습니다. 그리고 인스타그램에서는 ‘착한 한 장 챌린지’라는 일상 사진을 기부받는 챌린지를 진행했습니다.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블로그에서는 캠페인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우수 참여 사례 모음집(인스타그램 스토리), 챌린지 참여 방법 안내 숏폼 영상(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설리번 플러스에 대한 소개(블로그) 등 다양한 콘텐츠를 연계했습니다. 또한 시각 장애인 유튜버 <원샷한솔>과의 협업을 통해 해당 챌린지의 참여를 독려하는 브랜디드 콘텐츠를 제작했습니다. 이렇게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블로그를 통합적으로 활용해 2만명 이상의 사진 기부를 받는 성공적인 캠페인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기업의 각 디지털 온드 채널을 연계한 통합 마케팅 캠페인은 지속 발전해 나가고 있습니다. 삼양라면 출시 60주년을 맞아 진행된 ‘삼양라면 초고압 세척기 캠페인’의 경우도 각 채널의 연계해 시너지를 만들어낸 사례입니다. ‘라면 없는 라면 광고’라는 유튜브 영상을 통해 김창옥 교수와 개그맨 정재형이 출연해 일상 속 라면 냄비 설거지를 코믹하게 풀어냈습니다. 해당 영상은 전체 캠페인의 마중물 역할을 했습니다. 이어 초고압 세척기 증정 이벤트를 SNS를 통해 진행했으며, 1만3000건 이상의 사연을 모을 수 있었습니다. 유튜브와 SNS가 서로 연계해 지속적인 화제성을 창출한 것입니다.


앞으로 브랜드 캠페인은 더욱 디지털 채널을 중심으로 진행될 것입니다. 그리고 각 채널의 연계를 얼마나 창의적인 방법으로 하느냐가 미래의 핵심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콘텐츠 마케터라면 채널 간 티키타카의 창의성에 집중하는 것이 새로운 성공사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입니다.


[2025년 팬덤을 만드는 기업의 콘텐츠 마케팅 전략]

명확한 정체성을 지닌 부캐 채널의 활성화

기업 디지털 채널, ‘단순 홍보용’에서 ‘수익 창출형’으로 진화하다

숏폼, 잘파 세대 팬덤을 만드는 무기가 되다

유튜브 오리지널 콘텐츠 전성시대가 온다

유튜브와 SNS 연결의 시대! 통합 마케팅 성공 전략(현재 글)

인플루언서 마케팅 변혁의 시대, 변화에 적응하는 기업만이 성공한다

팬덤을 만드는 기업의 브랜드 캠페인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3월 10일 오전 1:2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당근의 성장 비밀을 알려 드립니다

    M

    ... 더 보기

    당근의 성장 비밀을 알려 드립니다

    trendlite.stibee.com

    당근의 성장 비밀을 알려 드립니다

    축구경기 역배팅 미★ 금융 다단계의 함정

    최근 소식 돈놓고 돈 먹기 축구 역배팅이라는 미★ 이란 조직이 돈이 묶이는 큰 문제가 발생....피해자 속출 결국 시간이 흐르면 문 닫을 겁니다.

    ... 더 보기

    조회 34


    3월 기획자,마케터에게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브랜드,마케팅 이슈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