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납품 프로세스 및 의사소통 절차

공장장님-> 프레스 작업자 "오늘 저녁 작업하고 출하관리팀 전달해"

공장장님->나 "긴급 건, 아침 첫 차로 납품해"

나-> 출하관리팀(A 대리님) "A 협력업체에서 급하다고 전화 왔습니다. 지금 작업 중이고, 오늘 저녁에 전달드리면, 내일 첫 차에 납품할 수 있게 준비 좀 부탁드립니다."


아침 출근하자마자 출하관리팀에 내려가 보니

  1. 출하 일정 조율 문제

    • 공장장님은 첫차로 납품하라고 지시했으나, 현장에서 출하팀으로 전달되지 않음.

    • 재고 12개로 첫차 납품을 해결했지만, 이후 추가 납품을 위해 작업된 제품이 필요함.

  2. 의사소통 단절

    • 출하관리팀(박대리님)과 현장 간 정보 공유 부족 → 작업 진행 여부 파악이 어려움.

    • 박대리님은 현장에 직접 가서 확인할 수 없고, 기다리라는 입장.

    • 작업 진행 상황을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 구조.

  3. 납품 지연 가능성

    • 추가 납품이 필요하지만, 교정 과정이 필요해 즉시 출하 불가능.

    • 현장에서 출하팀으로 언제 제품이 넘어올지 불확실.


부서별 의사소통 & 프로세스 개선(해결 방안)

1. 공장장님과의 의사소통

보고 방식 개선

  • 출하 일정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이슈는 실시간으로 보고

  • 나: “아직 출하팀으로 전달되지 않아 재고 12개 첫 차 보냈습니다. 교정 시간이 필요하며, 다음 차에 출하를 위해서 현장에 가서 확인하고 A 대리님한테 전달하겠습니다. 다녀오겠습니다".


2. 출하관리팀(A대리님)과의 의사소통

진행 상황 실시간 공유

  • A 대리님이 직접 현장에 가서 프레스 작업자와 전달 요청 못함

  • 필요시 현장과 직접 조율이 어려운 경우, 공장장님 혹은 나에게 상황 보고 요청

  • 직접 작업 여부를 묻기보다 자연스럽게 출하 가능 시점 확인하는 방식으로 중간 점검


3. 프레스 작업자와의 의사소통

작업 완료 후 출하팀 전달 프로세스

  • 현장에서 작업이 끝나면 출하팀으로 전달하는 프로세스

  • 단순히 작업 완료 확인 대신에 "오늘 오전 9시까지 필요한데, 몇 시쯤 넘어올까요?"/ "언제 받을 수 있을까요?" 질문하여 구체적인 날짜와 시간 확인


오늘의 문제를 돌아보면, 현장과 출하관리팀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아서 생긴 문제다. 긴급한 상황에서 소통 체계가 미비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각 부서 간 실시간 의사소통명확한 정보 전달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 나의 역할 정리 요약

납품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각 부서 간 연결고리 역할을 하면서, 문제 발생 시 해결책을 조율하는 사람

지금 하는 일 보면 실제 출하 프로세스를 조율하고 최적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 출하 일정과 납품 관리 및 조정

2️⃣ 각 부서 간 커뮤니케이션 담당

3️⃣ 긴급 상황 대응 및 문제 해결

4️⃣ 프로세스 개선으로 효율성 향상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3월 27일 오전 5:10

조회 242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