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장님-> 프레스 작업자 "오늘 저녁 작업하고 출하관리팀 전달해"
공장장님->나 "긴급 건, 아침 첫 차로 납품해"
나-> 출하관리팀(A 대리님) "A 협력업체에서 급하다고 전화 왔습니다. 지금 작업 중이고, 오늘 저녁에 전달드리면, 내일 첫 차에 납품할 수 있게 준비 좀 부탁드립니다."
아침 출근하자마자 출하관리팀에 내려가 보니
출하 일정 조율 문제
공장장님은 첫차로 납품하라고 지시했으나, 현장에서 출하팀으로 전달되지 않음.
재고 12개로 첫차 납품을 해결했지만, 이후 추가 납품을 위해 작업된 제품이 필요함.
의사소통 단절
출하관리팀(박대리님)과 현장 간 정보 공유 부족 → 작업 진행 여부 파악이 어려움.
박대리님은 현장에 직접 가서 확인할 수 없고, 기다리라는 입장.
작업 진행 상황을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 구조.
납품 지연 가능성
추가 납품이 필요하지만, 교정 과정이 필요해 즉시 출하 불가능.
현장에서 출하팀으로 언제 제품이 넘어올지 불확실.
부서별 의사소통 & 프로세스 개선(해결 방안)
1. 공장장님과의 의사소통
✅ 보고 방식 개선
출하 일정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이슈는 실시간으로 보고
나: “아직 출하팀으로 전달되지 않아 재고 12개 첫 차 보냈습니다. 교정 시간이 필요하며, 다음 차에 출하를 위해서 현장에 가서 확인하고 A 대리님한테 전달하겠습니다. 다녀오겠습니다".
2. 출하관리팀(A대리님)과의 의사소통
✅ 진행 상황 실시간 공유
A 대리님이 직접 현장에 가서 프레스 작업자와 전달 요청 못함
필요시 현장과 직접 조율이 어려운 경우, 공장장님 혹은 나에게 상황 보고 요청
직접 작업 여부를 묻기보다 자연스럽게 출하 가능 시점 확인하는 방식으로 중간 점검
3. 프레스 작업자와의 의사소통
✅ 작업 완료 후 출하팀 전달 프로세스
현장에서 작업이 끝나면 출하팀으로 전달하는 프로세스
단순히 작업 완료 확인 대신에 "오늘 오전 9시까지 필요한데, 몇 시쯤 넘어올까요?"/ "언제 받을 수 있을까요?" 질문하여 구체적인 날짜와 시간 확인
오늘의 문제를 돌아보면, 현장과 출하관리팀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아서 생긴 문제다. 긴급한 상황에서 소통 체계가 미비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각 부서 간 실시간 의사소통과 명확한 정보 전달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 나의 역할 정리 요약
납품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각 부서 간 연결고리 역할을 하면서, 문제 발생 시 해결책을 조율하는 사람
지금 하는 일 보면 실제 출하 프로세스를 조율하고 최적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 출하 일정과 납품 관리 및 조정
2️⃣ 각 부서 간 커뮤니케이션 담당
3️⃣ 긴급 상황 대응 및 문제 해결
4️⃣ 프로세스 개선으로 효율성 향상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3월 27일 오전 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