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를 구축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과정들> 1. 저는 우리가 하는 모든 것의 기초가 ‘신뢰’라고 믿습니다. 2. 그래서 우리가 다른 사람을 더 신뢰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면, 인류는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진전을 이루어낼 것입니다. 3. 하지만 신뢰가 깨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신뢰를 재형성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그것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신뢰의 구성 요소는 아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4. 신뢰에는 크게 3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여러분에게 제가 ‘진정성'이 있다고 느껴진다면, 여러분이 저를 신뢰할 가능성이 높겠죠. 5. 그리고 여러분이 느끼기에 제가 말하는 '논리'가 엄격하다면, 여러분은 저를 더 많이 신뢰할 겁니다. 6. (마지막으로) 제가 여러분의 입장을 '공감'하고 있다고 느낀다면, 여러분이 저를 신뢰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7. 이 3가지가 모두 제대로 작동한다면, 우리는 완전한 신뢰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3가지 중 어느 하나로 흔들리게 된다면, 신뢰는 위협받게 되죠. 8. 이 3가지 중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쉽게 흔들리는 지점이 바로 ‘공감'입니다. 일반적으로 여러분이 누군가에 대한 신뢰를 잃을 땐, 그 사람이 여러분을 위해 존재한다는 점을 믿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9. (많은 경우) 우리는 너무나 바쁘기에, 누군가를 공감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과 공간을 만들 여유가 없습니다. 해야 할 것이 많을수록 그런 여유를 가지긴 더 힘들죠. 10. 이점은 우리를 악순환의 고리로 밀어넣습니다. 공감을 보이지 않으면 모든 일이 어려워지기 때문이죠. 그렇게 신뢰가 없으면 모든 것은 (더) 어려워지고, 점점 더 공감의 시간을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11. 논리가 흔들리는 지점은 크게 2가지 방향에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논리의 퀄리티가 떨어지거나 논리를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떨어지는 것이죠. 논리의 퀄리티가 떨어지면, (죄송하지만) 그건 딱히 도와줄 방법이 없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 이걸 단기간에 극복할 순 없고요. 12. 다만, 논리를 전달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면 이건 아주 쉽게 고칠 수 있습니다. 두괄식으로 시작하고, 그 주장을 지지하는 근거를 제공하세요. 13. 자신의 진정성을 의심 받는다면, 이건 짜증이 나는 일이 수밖에 없습니다. 인간은 아주 본능적으로, 그리고 순식간에 상대방에게 진정성과 진실성이 있는지를 판단합니다. 그러니 (모든 순간에) 자신 자신이 되십시오. 14. 사람들이 여러분에게 어떤 이야기를 듣고 싶어하는지를 생각하기보다는, 진정성 있게 여러분이 무엇을 말하고 싶은지에 대해 더 집중하세요. 15. 그리고 리더들은 구성원들에게 진정성을 가지기에 충분히 안전한 공간을 만들어줄 뿐 아니라, 그걸 환영하는 공간을 만들어주어야 합니다. 구성원들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소중하게 여겨야 한다는 말입니다. 이것이 구성원들이 탁월한 성과를 거두게 만드는 핵심입니다. - 프란시스 프레이

How to build (and rebuild) trust | Frances Frei

YouTube

How to build (and rebuild) trust | Frances Frei

2020년 12월 4일 오전 7:51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