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장님, 답답해서 그냥 제가 했습니다.

팀장님, 답답해서 그냥 제가 했습니다. 혹시 '답답함'을 참지 못하는 성격은 아니신가요? 비효율적인 코드, 명확하지 않은 커뮤니케이션, 더 나은 방법이 눈앞에 보이는데 돌아가는 동료를 보면 숨이 막히는 바로 그 느낌이요. 솔직히 말해서, 예전엔 저도 그랬습니다. 이런 성격은 깔끔하고 효율적인 것을 좋아하는 개발자의 숙명이자, 더 나은 결과물을 만들기 위한 열정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개인의 퍼포먼스를 내는 데 있어 이 '답답함'은 성장을 위한 강력한 동력이 되기도 했죠. 하지만 좀 더 멀리 봅시다. 팀장이 되고 나서도, 이런 성격이 그대로여도 괜찮을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닙니다. 개인의 성과가 아닌 팀의 성과로 평가받는 리더의 자리에서는, 그 강력했던 성장 동력이 팀 전체를 병들게 하는 '독'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답답함에 코드를 직접 수정하면 팀원의 성장 기회가 사라지고, 비효율에 인상을 찌푸리면 팀의 심리적 안정감이 무너집니다. 처음 한두 번은 '팀원의 실력 부족'으로 책임을 전가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윗 사람 입장에서 이런 일이 반복된다면 그건 결국 '매니징을 못하는 리더'로 보여질 뿐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리더의 역할은 정답을 알려주는 사람이 아니라, 팀원이 스스로 길을 찾을 수 있도록 기다려줄 수 있는 사람입니다. 그 과정이 내 기준에서 아무리 답답하더라고 비효율적이더라두요. 이제는 그 '답답함'을 다르게 바라봐야합니다. 팀원에게 화를 내기보다는 친절하게 조언을 해주고, 짜증을 내기보다는 성장을 기다려 주는 것. 이건 팀원들을 위한 배려 뿐만이 아니라, 자신의 성장을 위한 변화가 될겁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9월 28일 오후 1:33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