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틀몬스터가 디저트를 파는 이유》 북저널리즘에서 누데이크 브랜딩팀 이재연 팀장과 인터뷰한 내용을 통해 젠틀몬스터가 디저트를 파는 이유를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Q. 안경, 선글라스를 만드는 아이웨어 브랜드인 젠틀몬스터가 누데이크를 론칭한 이유는 무엇인가? 젠틀몬스터는 계속 변화하고,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브랜드다. 2018년, 우리는 ‘아이웨어가 아닌 새로운 콘텐츠로 소비자에게 접근할 수 있는 방식에 무엇이 있을지’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 ‘퓨처 리테일(future retail)’을 준비하기 위한 시작 단계였고, 다양한 아이디어 중에서 F&B가 갖고 있는 가능성을 연구하게 됐다. 다양한 팀원들이 긴 시간 실험한 끝에 누데이크가 탄생했다. Q. 왜 F&B, 그중에서도 디저트인가? 아이웨어와 관련 없어 보이는 분야다. F&B는 소비자가 쉽게 접근하고 소비할 수 있으면서 우리의 미학을 더할 수 있는 카테고리였다. 그 중에서도 특히 디저트는 우리의 미학을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물성을 갖고 있다. Q. 디저트로 독특한 경험을 주는 데에 집중하는 것 같다. 대표 디저트 ‘피크’도 크림이 흘러내리고, 찍어 먹는 과정까지 고려한 걸로 보인다. 어떤 방식으로 이런 경험을 만들어 왔나? 우리는 맛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디저트를 둘러싼 기존의 관념을 해체하고 재조립하기 위한 논의를 계속한다. ‘축하는 꼭 기념일에만 해야 할까?’, ‘초는 꼭 케이크 위에 꽂아야 할까?’, ‘케이크는 꼭 조각을 내 나눠 먹어야 하는가?’ 등의 질문 끝에 그런 결과를 얻게 됐다. 이전까지 디저트로 사람들이 경험할 수 있는 영역이 형식화되어 있었다면, 그걸 해체하고 새로운 판타지를 줄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려 한다. Q. 누데이크 팀은 어떻게 구성돼 있나? F&B팀, 브랜딩팀, 오브제&그래픽팀, 공간팀, 크리에이티브 콘텐츠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상과 사진을 비롯한 이미지 구상과 제작은 크리에이티브 콘텐츠팀, 제품 패키지와 그래픽 작업물은 오브제&그래픽팀, 공간의 디자인과 오브제는 공간팀에서 기획하고 설계한다. 브랜딩팀은 이 모든 것을 기획하고 실행하며 점검하는 과정을 총괄한다. 하나의 프로젝트는 모든 팀의 수많은 협의와 수정을 통해 완성한다. [ 큐레이터의 문장 🎒 ] Q. 매장 경험이 브랜딩에 어떤 방식으로 기여한다고 생각하는지 궁금하다. 디저트는 단순한 먹거리가 아니라 ‘나를 위한 작은 사치’, ‘부가적 소비’로 인식된다. 디저트뿐만 아니라 공간의 무드, 콘텐츠, 서비스 등이 세심하게 조화를 이루어야 소비자가 만족스러운 경험을 했다고 생각하게 된다. 디저트를 경험하는 오프라인 공간의 모든 영역을 전략적으로 구성했다. 미학을 비롯해 미디어 아트, 디저트 디스플레이, 테이블 등을 구조적으로 배치해 소비자가 브랜드를 보다 감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소비자가 우리 브랜드 스토리를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 Talks; 리테일의 미래는 경험이다

Mailchi

💬 Talks; 리테일의 미래는 경험이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4월 1일 오전 2:4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