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버스 이노베이션(Reverse Innovation)이란 무엇일까?] 기존에 혁신은 인재와 조직, 지원 인프라가 더 잘 갖춰졌다는 이유로 선진국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습니다. 그동안은 선진국 기업들은 상품과 서비스의 혁신을 자국 시장에서 시장해 같은 제품을 신흥국 시장에 맞게 적당히 수정하여 조금 싸게 판매하는 전략(글로컬라이제이션)을 취해왔는데요, 이러한 방식이 신흥시장의 공략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 드러나며 기업들은 '선진국과 신흥국의 경제는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신흥국 맞춤형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후 등장한 개념이 '리버스 이노베이션'입니다. 리버스 이노베이션이란 신흥시장을 철저히 연구하여 현지 수요에 맞는 제품을 개발함으로써 이 시장을 석권한 후, 이를 통해 향상된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전 세계 시장에 역진출하는 것을 말합니다. 혁신 전문가인 고빈다라잔 다트머스대 교수는 "고객에 대한 기존의 가정을 전부 버린 채 깨끗한 백지에 새로 그림을 그린다고 생각하며 역혁신을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요, 기존의 지식을 적용시키려고 하는 것이 아닌 철저한 현지화를 통해 접근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합니다. 또한 성공적으로 리버스 이노베이션을 이루어 내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1. 본격적인 신흥시장 진출에 앞서 철저한 현지 시장조사 필요 - 선진국과 신흥국은 경제적 수준뿐만 아니라 종교, 정치, 언어, 자연환경 등 모든 조건이 다르고 발전양상 또한 다름을 이해해야합니다. 2. 현지 사무소나 지사 설립을 통한 체계적인 신흥국 진출 관리 - 리버스 이노베이션에 성공한 대부분의 기업들은 대부분 현지 지사를 운영했을 뿐만 아니라 현지형 제품과 서비스 개발을 위해 전담팀을 구성했다고 합니다. 3. 현지 전문인력 유치 - 현지 시장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변수에 따르게 대처할 있는 능력을 가진 전문가 채용은 필수입니다. 리버스 이노베이션 사례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3가지 사례를 조사해보았습니다. 대표사례: 미국 의류업체 리바이 스트라우스(리바이스) 청바지로 유명한 리바이스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아시아 시장의 진출 필요성이 확대되며 중국시장에 진출하였습니다. 리바이스는 당시 서구인의 체형에 맞는 고가 제품을 판매하고 있어 로컬업체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떨어졌기에 시장에서 외면당하고 있었습니다. 이후 아시아인의 체형 연구를 통해 중국 소비자만을 겨낭한 신규 청바지 브랜드인 '데니즌'을 런칭했는데요, 청바지 원단인 '데님'과 한자어 '젠'을 결합하여 중국 소비자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고자 했습니다. 이후 신규 브랜드에 대한 마케팅 결정권을 아시아로 집중하고, 데지즌 본사를 홍콩해 설립하여 소셜마케팅을 진행하였다고 합니다. 현재 리바이스는 한국을 비롯한 인도, 싱가포르, 파키스탄 등으로 매장이 확대된 상태입니다.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경기부진이 장기화되며 미국 소비자역시 가격을 중시하는 소비패턴이 형성 되었고, 리바이스도 아시아 시장에서 성공한 데지즌을 미국에도 출시하였습니다. 중저가 할인 매장에서 판매했지만, 로고에 from LEVI'S라는 문구를 달아 리바이스 계열 제품이라는 고급 이미지을 추가하여 성공적으로 브랜드를 런칭했습니다. 국내사례 : 대웅제약의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 대웅제약은 국내 제약사 중 가장 많은 해외 현지법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17년 대웅제약은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에 다가가겠다는 전략을 세운 후 바이오 산업을 키울 국가로 인도네시아를 선택했는데요, 인도네시아는 현지법인과 공장, R&D센터가 모두 구축되어 있는 국가로, 수도인 자카르타에 지사를 설립한 후 2012년 인도네시아 최초의 바이오의약품 공장인 대웅 인피온을 준공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인프라를 통해 연구와 생산, 영업, 마케팅까지 직접 운영 기반을 다지며 현지 수요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일본과 미국으로도 인프라를 확대해오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고 합니다. 해외사례 : 중국의 저가 전기 스쿠터 수출 이번 사례는 자국(신흥국)에서 성공한 제품이 선진국에서도 성과를 거둔 사례입니다. 과거부터 중국의 제조사들은 대기오염를 막기 위해 가솔린 오토바이 구입을 억제하는 자국의 규제를 피해 규제가 적은 전기 스쿠터의 제품 개발 및 판매에 주력해왔습니다. 그러다 기술이 점점 좋아져 중국의 전기스쿠터의 점유율은 기존의 가솔린 오토바이를 뛰어넘을 정도로 상당히 높아졌는데요, 이러한 기술력을 통해 유럽에서도 수출하여 연간 50만대 이상을 판매하고 있다고 합니다. 결론적으로 리버스 이노베이션의 핵심은 신흥시장과 선진국 시장을 함께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의 '보편성'을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제품의 핵심에 집중하는 심플화 전략을 통해 이루어낼 수 있습니다.

2021년 5월 31일 오후 2:57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