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밀레니얼들과 GenZ 세대들이 이전 세대들에 비해서 더 많이 사기를 당한다고 합니다. 보이스 피싱의 피해자들이 왠지 노인들일 것 같지만 오히려 젊은 세대들이 피해를 더 많은 피해를 입는다니 직관에 반하는 느낌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한 조사 결과가 발표된 적이 있습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2628094) 정확한 이유를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이들 젊은 세대들이 온라인 거래에 훨씬 더 많이 노출되어 있고 전통적인 거래방식 이외에 다양한 소셜미디어를 통해 거래를 하고 있고, 지불방식 역시 Venmo 같은 다양한 플랫폼을 이용하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Millennials and Gen Z Get Scammed More than Their Grandparents, Sorry

Vice

Millennials and Gen Z Get Scammed More than Their Grandparents, Sorry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월 5일 오전 4:1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조선일보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 리트코드 스터디 5기 모집합니다!

    ... 더 보기

    리트코드 스터디 5기 모집 공지 · DaleStudy/leetcode-study · Discussion #1599

    GitHub

    리트코드 스터디 5기 모집 공지 · DaleStudy/leetcode-study · Discussion #1599

    조회 1,144


    93억 버는 직장인

    9

    ... 더 보기

    < 매일 아침 헬스장 가기 싫은 당신에게 >

    1. 두 선택지가 팽팽히 맞서고 어느 한쪽이 단기적으로 더 고통스럽다면 그 길이 장기적으로 이익일 가능성이 높다. 복리의 법칙에 따라 당신은 장기적인 이익을 선택해야 한다.

    ... 더 보기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477


    개발자 교양 팟캐스트

    A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