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는 출산부터 교육, 구직 등 개인의 인생 전반에 시스템이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 중 하나예요. 한국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가장 큰 요소는 경쟁이고요. 그랬을 때 번아웃은 시스템이 개인에게 끼치는 악영향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현상이라고 봅니다. 따라서 개인에게 '누가 그렇게 일을 많이 하래?', '번아웃은 알아서 처리해야지'라고 말할 수 없어요. 하지만 당신의 열정도 만들어졌을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상기하기 위해, 또 적어도 마음의 위안을 얻고 극단적인 생각이나 결정을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번아웃의 원인, 진단, 해결책을 다룬 글을 소개합니다. 본문에서도 개인을 위한 팁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회사가 해야할 일을 명시해두었어요.     (본문 중) 흔히 직장, 학교 등에서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는 번아웃은 지독한 피로(fatigue), 냉소(cynicism), 낮은 성취감의 크게 세 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애정과 열정이 '지나쳐도' 번아웃 온다

Donga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애정과 열정이 '지나쳐도' 번아웃 온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월 6일 오전 4:1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ChatGPT 버전명 설명

    ChatGPT 사용할 때 어떤 모델을 선택해야할지 망설여집니다. 모델명만 봐서는 어떤게 좋은지 모르겠더라고요.

    ... 더 보기

    딥러닝/LLM 모델은 기본적으로는 Stateless한 상태지만, 대부분 프롬프트와 출력을 계속 되먹임하면서 작업을 이어가기 때문에 여러 턴으로 이루어진 태스크에서는 Stateful 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것을 In-context learning 이라고 합니다.


    ... 더 보기

    💸 기술 부채 개념, 유형, 해결 방법

    ... 더 보기

    기술 부채 어떻게 상환할까?

    InfoGrab Insight

    기술 부채 어떻게 상환할까?

     • 

    저장 19 • 조회 2,536


    이직의 조건

    

    ... 더 보기

    요즘 사람들이 가장 많이 AI를 활용하는 분야 Top 10

    1

    ... 더 보기

    How People Are Really Using Gen AI in 2025

    Harvard Business Review

    How People Are Really Using Gen AI in 2025

     • 

    저장 6 • 조회 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