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견은 기본적으로 패턴인식입니다. A라는 패턴을 B라고 해석하는 것이죠. 인공지능이나 머신러닝도 이런 식으로 학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편견을 그대로 학습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어떠한 편견을 극복하고 '당위적으로 옳은 판단'을 하는 것은 훨씬 더 고차원적인 사고활동이고 이런 것을 현 단계의 인공지능에게 기대할 수는 없습니다. 굳이 정의를 내리자면 편견은 선입견 중에 하나이고 선입견이 모두 '부정적인 편견'인 것은 아닙니다. 사실 선입견이란 '틀릴수 있는 가능성'을 '판단에 걸리는 시간'과 교환하는 방식입니다. 학점이 나쁜 사람이 일을 잘 못할 것이다, 라는건 선입견이지만 일일히 모든 사람에게 업무를 시켜보고 시간을 들여 지켜보지 않고 판단을 내릴수 있게 해주는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대체로 시간이 오래 걸리는 정밀한 판단보다 조금 틀리더라도 빨리 결정하고 수정해나가는 편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에 이런 선입견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는 것이겠죠. 결국 문제는 인공지능에게 무엇을 학습시켜야 하는지로 요약됩니다. 가끔 어른의 행동을 따라하는 어린이들을 통해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허물을 깨닫게 되듯이 인공지능이 그런 편견의 거울 역할을 해줄지도 모릅니다.

[고학수의 미래를 묻다] 인공지능은 차별·편견을 인간에게서 배운다

다음뉴스

[고학수의 미래를 묻다] 인공지능은 차별·편견을 인간에게서 배운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월 6일 오후 12:3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스몰 데이터(Pandas)에서 빅 데이터(Spark)로!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29 • 조회 3,715


    < '네이버 다녀요'라는 말에 아무도 무슨 일을 하는지는 묻지 않았다 >

    1

    ... 더 보기

    누구나 특정 회사에 들어서는 순간 느끼는 회사마다의 분위기가 있다. 가정도 마찬가지이다. 분위기가 엄해보이는 집, 까불까불한 집, 대화는 없어도 화목해보이는 집.

    ... 더 보기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사례뉴스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 

    저장 5 • 조회 523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청년미래플러스 사업, 이전에 공유했었는데요.

    ... 더 보기

    청년미래플러스 참여 재직자 1기 모집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청년미래플러스 참여 재직자 1기 모집

    간밤에 또 빅 AI 업데이트가 있었군요. Claude 4 Opus, Sonnet 패밀리가 발표되었습니다.


    성능이나 다양한 능력이 향상되었고, 트렌드에 맞게(?) 소프트웨어 개발 성능이 또 크게 올랐습니다.


    ... 더 보기

    조회 1,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