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면서 가장 슬픈일은 점점 적은 사람이 나에게 지식적으로 도전하는 사람이 줄어든다는 점이다. 나의 지능이 낮다면 내 지식수준은 시간이 흐를 수록 깨지기 쉬어질(fragile) 것이고, 내 지능이 높다면 지식은 강건(robust)하지만 나보다 더 높은 수준의 사람에 의해서 한방에 깨져버릴 것이다. 사람의 지식 수준이라는 것은 공격당하고, 창피당하고, 깨지고, 부셔지고, 다시 재창조되면서 발전한다. 특히 나이가 드는 것과 별개로 내 사회적 위치가 올라갈 수록 내 말을 들어주는 사람이 많아지지 내 주장과 지식을 반박하는 사람은 점점 적어질 수 밖에 없다. 그러는 순간 고집불통 외골수가 되게 되고 더 이상의 발전은 사라지게 된다. 그런면에서 차라리 "그거 되게 바보같은 생각 아닌가요?"라는 반박이 듣기에는 굉장히 거북하고 불친절 할 수는 있어도 최소한 그 사람의 생각을 들어볼법한 것은 사실이다. 나이가 들어가면 무능력해 진다는 것은 단순 육체가 약해져서가 아니라 사람들이 나를 하나의 활발한 인격체로 대하지 않기 때문이다. 욕 많이 먹고 다양한 의견에 노출되는 것은 안티프레질 할 수밖에 없다. 단순 책을 읽고 수다떠는 걸로는 더 높은 수준의 지식에 도달할 수 없다.

유료광고인데 역효과 난 듯한 와썹맨 농협편.jpg - 스퀘어 카테고리

theqoo.net

유료광고인데 역효과 난 듯한 와썹맨 농협편.jpg - 스퀘어 카테고리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30일 오후 12:3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훌륭한 데이터 분석가란 어떤 사람인가?

    ‘훌륭한 데이터 분석가란 어떤 사람인가?’에 대해

    ... 더 보기

    간만에 개발 떡밥이(신난다) 이번엔 제가 소수 입장에 있는 ORM이군요. 후후..


    저는 몇몇 사건을 통해 ORM 반대주의자가 된 사람인데요.


    ... 더 보기

    요즘 사람들이 가장 많이 AI를 활용하는 분야 Top 10

    1

    ... 더 보기

    How People Are Really Using Gen AI in 2025

    Harvard Business Review

    How People Are Really Using Gen AI in 2025

     • 

    저장 9 • 조회 1,146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7 • 조회 1,390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