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이 대세가 된 듯한 시대가 오면서 이스라엘이라는 나라가 자주 언급된다. 어떻게 이스라엘이 스타트업 시대에 중요한 나라로 부상했는지 리더십, 혁신, 기업가 정신이란 측면에서 곰곰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윤종록 전 미래창조과학부 차관과 여시재 이광재 원장의 현대 이스라엘 혁신에 대한 대담은 그러한 면에서 충분히 읽어볼 가치가 있어 보인다.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Yeosijae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2월 8일 오전 1:1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LLM으로 매우 복잡하고 복합적인 작업이 들어가는 실서비스를 꽤 오랜 기간 해 온 입장에서, 요즘 말하는 콘텍스트 엔지니어링도 사실 매우 옛말이고, 현재 LLM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핵심은 뭐랄까.. 명칭을 붙이자면 플로우 엔지니어링이라고 할 수 있겠다.


    《효율과 행복》

    ... 더 보기

    아직 나도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긴한데, 실무에서의 바이브 코딩은 다르다.


    비단 개발자 관점에서만이 아니라, 기획자, 디자이너도 마찬가지로 다른 방식을 써야한다.


    ... 더 보기

    제미나이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 더 보기

    “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조선일보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93억 버는 직장인

    9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