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여 년 기자로 일하다 스타트업 생태계에 뛰어든 선보엔젤파트너스 심사역 최영진입니다. 이 기사의 부제가 재미있습니다. '구글 듀플렉스스와 닮은 듯 다르다'네요. 네이버도 듀플렉스 이후에 이와 비슷한 서비스를 론칭했기 때문에 신경이 쓰였을 것 같습니다. 서비스를 어떤 식으로 적용하느냐에 따라 성공 여부가 결정되니, 구글 듀플렉스와 정반대로 AI 기술을 접목했으니 한번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런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AI 기술의 키포인트는 '자연어 처리'인 것 같습니다. 스캐터랩이 VC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도 자연어 처리 관련 데이터를 많이 확보했기 때문입니다. 네이버야 검색을 이용한 수많은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으니 자연어 처리에 강점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요즘 한국어-영어, 영어-한국어 번역에서 파파고가 구글보다 훨씬 좋다는 평가를 받는 것도 한국어 데이터를 구글보다 많이 가지고 있으니 가능한 것이겠죠.

네이버, 전화 대신 받아주는 AI 공개

블로터

네이버, 전화 대신 받아주는 AI 공개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19년 8월 29일 오전 12:3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공공기관 5년차 MZ가 워라밸 버리고 "이것" 선택한 진짜 이유

    ... 더 보기

    < 진보는 조용히 오고, 파괴는 시끄럽게 온다 >

    1. 문제는 고쳐지고 사람들은 적응한다. 위협이 크면 해결책이 나올 동인도 똑같이 커진다.

    ... 더 보기

    < ‘기회’는 늘 ‘문제’로 가장해서 나타난다 >

    1. 문제를 일으킬 때 했던 것과 같은 생각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 더 보기

    < 성공한 사람들은 ‘의도적으로’ 선택한다 >

    1. '의도적'은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단어다. 우리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일한 핵심 단어일 수도 있다.

    ... 더 보기


    정부는 이런 관행이 기관의 단타 매매와 새내기주 가격 하락으로 이어진다고 보고 의무 보유 확약 물량이 40%(올해는 30%)에 미치지 못하면 주관 증권사가 공모주의 1%를 6개월 동안 반드시 보유하도록 했다. 약 20% 수준이었던 의무 보유 확약 비율을 30%대로 끌어올리지 못하면 주관사가 공모주 인수에 따른 리스크를 안게 되는 만큼 부담이 크다.

    ... 더 보기

    셈법 복잡해진 IPO…기관 의무 보유 강화하자 신고서 제출 '0' [시그널]

    서울경제

    셈법 복잡해진 IPO…기관 의무 보유 강화하자 신고서 제출 '0' [시그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