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래요' 가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는 UX라이팅을 다룬 글
UX를 하고있는 건 아니지만 왜 말투를 이렇게 하는걸까? 어디서부터 시작이였을까? 의문이 있어 읽어봤다. 친근함을 키워드로 한걸 알았지만 종종 떼쓰고 있다 라는 느낌을 받았는데 이 글에서 잘 정리해줬다.
👉해요체 버튼의 어려움
1. 해요체는 버튼의 길이를 길게 만든다.
2. 사용자 의사와는 상관없이 말투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일부 사용자가 이질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3. 서비스 사용자 사이의 관계와 상황 권력이 미묘하게 조정된다.
배울 건 많고, 시간은 없는데 개념 익히고 내 것으로 완전히 만드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빨리 배울 수 있는 팁 없을까요?
스킬과 개념 빨리 익히는 팁 알려주는 영상이 있어서 정리해서 올려요.
1️⃣ 다양한 기술 접해보기
프런트엔드라면 프런트엔드의 다양한 프레임워크에 관해서 배운다. 여기서 ‘다양한’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지만 따지고 보면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배우는 건 ‘프론트엔드‘라는 같은 영역에서 비슷한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다. 계속 성장하려면 이렇게 한 영역에 집중한 기술보다 다양한 영역의 기술을... 더 보기
직업 사이트(jobs website)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직업들의 간단한 설명에 대해 나와 있는 유용한 기사가 있어 공유합니다.💭
<Silicon Republic(?)의 A-Z 기술 직업 목록>
1. 자동화 엔지니어(Automation engineer)
자동화 엔지니어는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기술 도구를 사용하는데, IT에서 제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필요로 합니다. 기술자가 작업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직원의 부담을 덜어주어야 하는 모든 분야에서 자동화 엔지니어는 필요합니다.
2...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