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 높은 리모트워크를 위한 다소 주관적인 조건들》
유럽 표준시가 한국보다 8시간 느리다 보니까, 불편한 점은 일어나자마자 바로 업무 모드가 되야 한다는 건데요. 반면, 전날 내가 마친 업무를 공유해 놓으면 아침에 결과를 받아볼 수 있는 건 리모트워크의 확실한 장점이네요.
◼︎ Nature : 따뜻한 날씨, 바다 뷰
◼︎ Doc Sharing : 웹 기반 공유문서 서비스
◼︎ Online Meeting : Zoom & Team
◼︎ BGM :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 Noise Control : 노이즈캔슬 디는 에어팟
◼︎ Wifi : 400Mbps 이상의 와이파이
◼︎ Devices : 가벼운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 Restaurants : 숙소 옆 트립어드바이저 추천 맛집 (요리 못하는 나 같은 사람을 위한!)
데이터 분석가로 취업 및 이직을 준비하시는 분들과 많은 커피챗, 포트폴리오 리뷰를 진행하면서 많이 받은 질문이 있었습니다.
Q. 포트폴리오에 넣는 프로젝트 내용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나요? 🧐
포트폴리오 속 프로젝트를 어떻게 정리해야 실력 있는 데이터 분석가로서의 역량을 드러낼 수 있을까요?!
데이터 분석가는 ‘데이터를 활용해 서비스와 비즈니스를 성공적으로 이끄는’ 사람입니다. 데이터를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어야 하고, 비즈니스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지요.
이러한 핵심 역할을 다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가는 ‘문제정의 및 핵심 질문 만들기 → 데이터 탐색 및 데이터 추출, 가공 → 데이터 분석 → 결과 내용 정리 및 공유(성과지표 확인) → 액션(가설 확인) 및 피드백을 반영’의 순서로 업무를 진행하게 됩니다.
즉, 포트폴리오 속의 프로젝트도 이런 흐름에 맞추어 정리한다면 데이터 분석가로서의 사고방식과 역량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1️⃣ 문제정의 및 핵심 질문 만들기
- 어떤 문제상황을 인식했는지 이야기합니다.
- 그 문제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어떤 핵심 질문을 만들었고, 어떤 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