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 관점에서 바라본 직무 스트레스> 직장에서의 스트레스는 크고 작게 다들 있을텐데요. 대부분이 겪고 있는 직무 스트레스는 개인이 알아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일까요? 회사에서 발생한 스트레스가 누적되고 많은 구성원이 공통되게 겪는다면 결국 회사 전체의 성과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이론 세가지와 함께 회사 차원에서 스트레스 요인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1. Job Demand-control Model (Karasek and Theorell, 1990) 스스로 직무를 컨트롤할 수 있느냐인 직무 통제권과 자율도가 직무에서 요구되는 긴장도를 완화하고 만족도도 높일 수 있다고 합니다. ​ 2. The Effort-Reward Model (Weyers et al., 2006) 직무 수행에 필요한 노력과 그에 비해 주어지는 보상의 불균형이 심할수록 직무 스트레스가 심해진다고 합니다. 여기서 보상이란 금전적 보상뿐만 아니라 고용 안정성, 인정과 존중 등의 감정까지를 포함합니다. 3.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Schaufeli & Bakker, 2004) 직무에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은 크게 직무 요구와 직무 자원이라고 합니다. 직무 요구란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신체, 심리적 능력 및 감정의 요구를 말하며, 직무 자원은 직무 수행을 위해 기능을 지원해주고 부담을 줄여주는 것을 말합니다. 직무 자원의 예로는 직무 교육 훈련, 역할의 명확성, 자율성 등이 있습니다. 직무 요구 수준이 높고 직무 자원이 풍부하게 지원될때 업무 몰입이 높은 상태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성과 관점에서 이해하는 직무 스트레스(Job Stress)

HR은 Fit하게, IMHR

성과 관점에서 이해하는 직무 스트레스(Job Stress)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2월 1일 오후 1:3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충실하게, 정직하게》

    기록은 문제가 아니다. 지금에 와서는 아무리 노력을 해본들, 아마도 젊은 날과 똑같이 달리지는 못할 것이다. 그 사실을 기꺼이 받아들일 것이다. 별로 유쾌한 일이라고 말하기 어렵지만, 그것이 나이를 먹어간다는 일인 것이 분명하다. 나에게 역할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시간에도 역할이 있다. 그리고 시간은 나 같은 사람보다는 훨씬 충실하게, 훨씬 정직하게 그 직무를 다하고 있다. 잠시도 쉬지 않고 계속 전진해오지 않았는가.

    ... 더 보기



    《근육은 고지식하지만 “아, 좋지요"》

    ... 더 보기

    지난 2012년 설립된 빌더AI는 코딩 지식 없이도 AI로 누구나 앱을 제작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타트업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과 디자인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앱이 생성되는 구조로, 앱 개발에 들어가는 비용과 시간, 인력 의존도를 크게 줄인다는 점에서 혁신 모델로 주목받았다.

    ... 더 보기

    이데일리-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

    이데일리

    이데일리-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

    조회 726


    《어떤 것은 다르게 살게 한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