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 담당자가 말하는 '꼭' 뽑고 싶은 신입 개발자 특징은?
YouTube
[꼭 뽑고싶은 개발자(혹은 마케터) 신입 특징!] 원제목은 <채용 담당자가 말하는 '꼭' 뽑고 싶은 신입 개발자 특징은?>이지만 마케터 채용에서도 비슷하게 적용되서 공유 드립니다. 해당 영상은 EO채널 시리즈인 "워키토키" 중 하나의 에피소드 입니다. 해당 <신입 개발자 채용>편에서는 인프런 CTO, 힐링페이퍼(강남언니) 프론트 엔드 리드, 버킷리스트(오늘의 집) 프론트엔드 리드님들이 <이런한 신입 개발자 분이면 꼭 뽑고 싶다>를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내고 있습니다. ✅ 버킷리스트(오늘의 집) 프론트엔드 리드 조은님 🔥커뮤니케이션 스킬 : 중요한 요소이긴 하나 다른 역량 보다는 중요도가 낮다. 주니어 레벨이라면 커뮤니케이션 스킬이 조금 미성숙해도 괜찮습니다. 🔥문제인지/해결능력 : 주니어 개발자라면 문제인지 능력을 중요하게 봅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 문제를 인지하고 해결까지 도달 할 수 있는지 능력을 중요하게 봅니다. 🔥태도/자세 : 매우 중요하게 보는 요소입니다. 주니어라면 본인이 어떤 부분을 잘하고 어떤 부분은 잘 못하는지 인지하고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태도가 좋지 않은 개발자는 성장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봅니다. 🔥성장가능성 : 채용에서 보는 핵심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질문을 합니다. <만약 무제한의 자원이 주어진다면 우리 회사에서 무슨 일을 해보고 싶은가요?>라는 질문을 합니다. 왜냐하면, 회사는 자아실현의 공간이 아닙니다. 비즈니스의 가치를 기술로 만들어 내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보다 내일 더 잘할 수 있는 개발자를 찾기 때문에 위와 같은 질문을 합니다. ✅ 인프런 CTO 이동욱님 🔥커뮤니케이션 스킬 : 커뮤니케이션 스킬이 없으면 업무를 완료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기획자가 말하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시니어 개발자가 무슨 말을 하는지 이해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최소한의 커뮤니케이션 스킬이 필요합니다. 🔥태도/자세 : 제가 정의하는 태도는 <논리력>입니다. 저는 면접 때 <왜?>라는 질문을 많이합니다. 이유는 문제를 해결하고 바로 문제를 매듭짖는 경우가 많은데, 실상 운이 좋아서 해결이 된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본인 스스로 이유를 계속 물어보는 자세가 있는지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논리력>과 더불어 <일을 마무리할 수 있는 능력>의 태도가 있는지도 봅니다. 본인이 어떻게든 방법을 찾아내서 일을 완전히 마무리하는 것을 중요하게 봅니다. 🔥나만의 학습방법 : 어떤 것을 배워야 한다면 <나만의 최적화된 학습 방법>을 찾았는지 파악합니다. 실행착오를 하면서 본인만의 학습방법이 정립되어 있으면 정말 폭풍 성장을 할 수있기 때문입니다. ✅ 힐링페이퍼(강남언니) 프론트 엔드 리드 정원희님 🔥문제인지/해결능력 : 주니어 레벨이라면 많이 보지는 않습니다. 최소한의 역량이 되는지 확인하는 정도입니다. 🔥커뮤니케이션 스킬 : 연차가 높으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주니어 레벨이라면 배우는 단계이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매우 중요하게 보지는 않습니다. 🔥태도/자세 :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입니다. 자신이 뭘 잘하고 못하는지 알아야 성장이 가능 합니다. 그리고 이 일을 왜 하고 어떤 임팩트가 있는지 생각하는 태도가 없으면 함께 일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필요한 질문을 하는 역량 : 지금 잘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을 알아서 잘 물어보고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위 요소를 마케터 직무로 바꿔 보면 이렇게 되지 않을까 합니다. 🔥커뮤니케이션 스킬 🔥태도/자세 🔥나만의 학습방법 🔥성장가능성 세부적인 내용은 개발자 분들이 보는 시각과는 다를 것 같습니다. 하지만 <만약 무제한의 자원이 주어진다면 우리 회사에서 무슨 일을 해보고 싶은가요?>, <논리력>, <나만의 최적화된 학습 방법>는 공통적으로 마케터에게도 적용 되는 것 같습니다.(많은 마케팅 인터뷰를 보면서 위 내용을 묻는 질문을 90% 받습니다.)
2021년 12월 8일 오전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