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가 최고의 성과를 내려면?> 1/ 리더는 성과를 내는 자리다. 하지만 최고의 성과를 내기 위해 리더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는 정작 수수께기이다. 2/ 리더십에는 각기 다른 감성지능(EQ)의 여섯가지 스타일이 있다. 마치 골프장에서 상황에 맞게 골프채를 고르듯이, 리더도 상황에 맞게 여섯 개의 스타일 중 적합한 스타일을 활용해야 한다. — 1) 지시형: “시키는대로 하세요” — 2) 비전형: “나와 함께 갑시다” — 3) 친화형: “사람이 우선입니다” — 4) 민주형: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5) 모범형: “내가 하는대로 따라하세요” — 6) 코칭형: “이렇게 하시는건 어떨까요?” 3/ 어떤 리더십 스타일을 활용할지는 조직의 문화적 특성에 달려 있다. — 1) 유연성: 얼마나 자유로운가? — 2) 책임감: 구성원들에게 권한이임이 되어 있는가? — 3) 성과 목표에 대한 기대 수준이 높은가? — 4) 피드백의 정확성과 보상의 적절성이 보장되는가? — 5) 조직의 미션과 가치가 명확한가? — 6) 조직의 공동목표에 대한 헌신도가 높은가? 4/ 각각의 문화적 특성에 따라 적합한 리더십 스타일이 존재한다. — 유연성이 강한 조직에서는 지시형과 코칭형은 위험하나 비전형 > 민주형 > 친화형 순으로 긍정적이다. — 책임감이 강한 조직은 민주형과 비전형이 잘 작동되나, 지시형은 최악이다. — 기대가 높은 조직과 보상이 명확한 조직에서는 비전형 친화형을 구사해야 한다. — 조직의 미션과 추구가치가 명확하다면 마찬가지로 비전형 스타일이 적합하다. — 마지막으로 헌신도가 높은 조직에서도 비전형과 친화형이 중요하다. 6/ 지시형과 모범형은 거의 모든 상황에서 부정적 결과를 만들어낸다. 지시형은 회사가 위급한 순간에만 써야 하는 매우 제한적인 스타일이며, 모범형은 전문가 집단에서 단기간 성과를 추구할 때만 작동한다. 7/ 가장 효과가 높은 스타일은 비전형이다. 우리는 급변하는 환경에 처해 있다. 변화는 혼돈을 동반하며, 안개속에서 나침반 역할을 하는 리더는 존경 받는다. 사업이 방향을 잡지 못하고 표류하고 있을때 비전형 리더는 새로운 방향을 설정하여 직원들에게 장기 비전을 제시한다. 8/ 만약 비전형 스타일을 체화하기 어렵다면, 그 다음으로 가장 긍정적인 리더십 스타일은 친화형이다. 이들은 모든 일을 사람을 중심으로 생각한다. 이들은 업무 목표보다는 조직 구성원과 그들의 감정을 중시한다. 화합을 이끌어내고 강한 정서적 유대감을 만든다. 하지만 수 많은 장점에도 단독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렵다. 자칫 성과가 미진해도 사람을 배려하다보니 적당히 넘어가는 경우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9/ 리더가 여섯가지 리더십 스타일을 모두 습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해결책은 비교적 단순하다. 리더에게 부족한 스타일을 가진 팀원들로 팀을 구성하면 된다. 리더는 팀의 다양성을 전략적으로 선택해서 배양해야 한다. 10/ 카멜레온은 상황에 적응한다. 성과가 부진하면 환경을 탓하기 마련이나, 상황이 예측불가능하게 변화한다는 사실 자체는 지금껏 변한 적이 없다. 성과를 내기 위해 리더가 택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다양한 골프채를 익혀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 뿐이다. 그럼에도 자주 활용하는 한가지 골프채를 골라야 한다면, ‘비전형’을 택하는 것이 최선이다. <Daniel Goleman, “Leadership That Gets Results”, Harvard Business Review (March–April 2000)>

Leadership That Gets Results

Harvard Business Review

Leadership That Gets Results

2022년 1월 4일 오전 12:18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