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faker.js가 없어져서 생태계에 큰 충격을 주었는데 커뮤니티 기반으로 다시 유지보수 된다고 합니다. faker.js는 테스트 등에 유용한 임의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javascript 라이브러리라서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었는데 메인테이너가 패키지를 지우면서 해당 프로젝트를 사용하던 프로젝트가 많이 놀랐었습니다. 저장소의 코드까지 다 지웠었는데 8명의 엔지니어가 faker.js를 계속 유지보수한다고 합니다. 오픈컬렉티브에서 기존에 faker.js에 기부하던 분들이 있어서 오픈컬렉티브와 협의해서 커뮤니티 팀이 이 오픈컬렉티브의 기부자들을 승계받게 되었습니다. 기존에 기부되어 쌓인 돈을 가져오는건 문제의 소지가 있어서 이는 원 메인테이너에게 귀속되고 앞으로 기부되는 돈이 커뮤니티팀을 후원하게 된다고 합니다.

An update from the Faker team | Faker

fakerjs.dev

An update from the Faker team | Faker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1월 20일 오후 5:40

조회 34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억울한 돼지

    

    ... 더 보기

    서버엔지니어의 시대적 고민

    ... 더 보기

    디자인 컴포넌트 기반 AI 프로토타이핑

    A

    ... 더 보기

    - YouTube

    www.youtube.com

     - YouTube

     • 

    저장 15 • 조회 622


    Gemini CLI가 무료라길래 주말에 사용해봤습니다.


    기존에 만들던 프로젝트가 있는데, 현재 중간 기능까지만 완성된 상태인데요,

    시간과 의욕이 없어 중단된 상태였는데, 좋은 기회다 싶었습니다.

    ... 더 보기

    LLM으로 매우 복잡하고 복합적인 작업이 들어가는 실서비스를 꽤 오랜 기간 해 온 입장에서, 요즘 말하는 콘텍스트 엔지니어링도 사실 매우 옛말이고, 현재 LLM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핵심은 뭐랄까.. 명칭을 붙이자면 플로우 엔지니어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4 • 조회 3,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