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 분석학(Organizational Analytics) 이라는 분야가 있는지 이번에 처음 알았네요🙂 Q.망하는 회사는 어떤 특징이 있나. "확실히 다르다. 실패 연구도 많이 했는데, 점점 분파로 나눠지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부서와 부서 사이의 상호작용이 크게 줄어든다. 조직원의 다양성도 떨어진다. 한 사람의 성공 모델을 조직에 강요하면 전체 조직의 생산성은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휴머나이즈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조직에 속한 구성원들이 얼마나 잘 협력하는지, 또 생산성은 얼마나 높은지, 인수·합병(M&A) 후 결과는 좋은지 등을 분석·예측하는 스타트업이다. 설문조사, 심층 인터뷰 등 경영학에서 고전적으로 해왔던 방법은 쓰지 않는다. 이메일 패턴, 미팅 스케줄링 패턴, 메신저 빈도, 모션 센서 데이터 등의 단서만을 모아 조직의 생산성, 만족도, 퇴사율을 분석해낸다"

"직원 네트워크만 보면 망하는지 흥하는지 압니다"

Chosun

"직원 네트워크만 보면 망하는지 흥하는지 압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4월 22일 오전 2:3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가장 예쁜 사람이 아니라, 1등 할 사람에게 투표하라 >

    1. 유명한 경제학자 케인스는 단기 투자 전략을 미인선발대회에 비유했다.

    ... 더 보기

    올해로 개발자 생활이 햇수로 20년째다

    2005년 7월에 일을 시작했으니, 올해로 개발자 생활이 햇수로 20년째다. 중간에 공백이 조금씩 있었으니 꽉 채운 스무 해는 아니지만, 숫자가 주는 무게는 여전하다. 2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는 사실이 새삼 신기하게 느껴진다.

    ... 더 보기

    소신

    

    ... 더 보기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802


    간만에 재밌게 읽은 기술 포스트

    ... 더 보기

    무진장 힘들었지만 무진장 성장한 개발 이야기

    Medium

    무진장 힘들었지만 무진장 성장한 개발 이야기

    성장이 어려운 환경에서의 개발자 생활

    저런 개발자 생활도 한적이 있어서 다양한 생각이 든다.

    “어이 신입, 탈출각이다” | 요즘IT

    요즘IT

    “어이 신입, 탈출각이다” | 요즘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