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취업 필수 코스 1탄: 알고리즘]

개발자 취업 준비 중이라면 꼭 알아야 하는 리소스 알려드립니다. 사이트는 https://leetcode.com 실제 테크 회사 인터뷰에 자주 나오는 문제와 풀이법을 모은 사이트입니다. 자세한 풀이법을 보려면 프리미엄 계정이 필요합니다. 알고리즘 문제 풀기 연습하기 좋은 리소스지만 이 사이트의 가장 큰 단점은 문제가 1000개가 넘습니다. 학생이라면 문제 1000개 하나씩 다 풀어보고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 있을 수도 있지만 직장인이 이직 준비하려면 문제 1000개 푸는 게 쉽지 않습니다. 현실적으로 하루에 8시간 일하고 저녁에 1-2시간씩 투자해서 주중 문제 1개씩 푼다고 하면 1년 넘게 걸립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친절한 취준생이 blind 75 리스트를 만들어서 공유했습니다. 리트코드에서 꼭 풀어봐야 하는 문제 75가지를 골라서 만든 리스트인데요, 미국에서 blind 75라고 불리며 아주 유명합니다. 공부할 시간이 없는 분들이나, 문제 풀기 연습을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면접관을 하면서 느낀 점은 사실 리트코드 1000개 문제 중에 한 개 골라서 내본 적은 몇 번 없습니다. 저의 경우 제가 직접 만든 문제를 제출할 때도 있고 회사에서 만들어 준 문제를 살짝 변형해서 내기도 합니다. 그래서 풀이법을 외우는 방법보다 개념을 이해하고 비슷한 문제가 나왔을 때 제대로 사용 수 있는 연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Blind 75 LeetCode Questions - LeetCode Discuss

LeetCode

Blind 75 LeetCode Questions - LeetCode Discuss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2월 22일 오전 6:23

 • 

저장 121조회 3,33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MCP 모르면 대체 얼마나 손해 보는 걸까?🤔

    ... 더 보기

    MCP 모르면 대체 얼마나 손해 보는 걸까? | 요즘IT

    요즘IT

    MCP 모르면 대체 얼마나 손해 보는 걸까? | 요즘IT

    학습 속도 끌어올려 취업하기

    코딩 학습 속도를 끌어 올릴 수 있는 방법에 관해 설명하는 영상 내용을 중요한 부분만 정리해서 공유합니다. 1️⃣ 파이썬으로 공부 시작하기 파이썬은 입문하기 쉬운 프로그래밍 언어다. 코딩을 포기하는 이유 중 하나는 잘못된 프로그래밍 언어로 배우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C 언어를 먼저 배우는 게 좋다는 사람도 있지만 입문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언어 개념이 많다. 코딩 배울 때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해하는 게 아니라 '코딩 하는 법‘을 먼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사이드 프로젝트하기 사이드 프로젝트하... 더 보기

    FASTEST Way to Learn Coding (for FREE) and ACTUALLY Get a Job

    www.youtube.com

    FASTEST Way to Learn Coding (for FREE) and ACTUALLY Get a Job

     • 

    저장 151 • 조회 7,906



    io.valkey.glide 의 장단...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Redis 라이센스 정책에 의해서 최근 io.valkey 에 대한 마이그레이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Valkey 는 Redis 7.4 미만 버전의 fork 서비스로 현재는 valkey 8.0 까지 release 되었지만, 저희는 아직 Valkey 7.2.x 로 테스트를 하고 있어요.

    ... 더 보기

    AI 시대, 데이터 분석에 대해 새롭게 정의해야 하는 이유

    AI 시대를 맞이하면서 우리는 다양한

    ... 더 보기

    혁신과장형 가짜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방안

    ‘혁신 과장형’ 프로젝트의 스폰서는 성장욕구가 강하고 프로젝트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 조직에 영향력이 큰 가짜 프로젝트를 리딩하기 위해서는 똑똑하고 조직에서 잘 나가는 사람이 그런 스폰서가 될 가능성이 높다. 똑똑하고 욕망이 강한 스폰서는 PM에게 매우 위험하다. 왜냐하면 그 스폰서에게 프로젝트는 본인의 성공을 위한 수단이기 때문에 PM을 논리적이면서도 강하게 밀어붙이기 때문이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