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는 어느 편이냐고 묻지 마세요 양자택일, 말 그대로 둘 중 하나를 택한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사실 선택지는 2가지가 아니라 4가지 입니다 . A를 택하거나, B를 택하거나, A와B를 모두 택하거나, A와B 모두 택하지 않거나. 경제문제에 있어서 대한민국은 미국도 중국도 택하지 않는 것을 택해서, 미국과 중국을 모두 택해왔다고 생각합니다. 이게 가능했던 이유는 미국과 중국이 각자의 이해관계에 입각해 이런 선택을 묵인해주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그런데 미중무역분쟁이 격화되면서 이런 암묵적 합의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한국이 경제적으로 '도랑치고 가재잡았던' 시절도 이제 끝나가는 걸까요? 조선일보는 영국계 은행 HSBC가 미국이냐, 중국이냐를 택일해야하는 기로에 서있다는 뉴스를 실었습니다. 너는 어느 편이냐고, 미중이 우리에게 묻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네요. 일독을 권합니다.

中협박에 손 든 HSBC... 어느편인지 다시 선택하란 美

Digital Chosun

中협박에 손 든 HSBC... 어느편인지 다시 선택하란 美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6월 12일 오후 3:3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DDD와 AI

    ... 더 보기

     • 

    저장 14 • 조회 1,508


    < 가장 예쁜 사람이 아니라, 1등 할 사람에게 투표하라 >

    1. 유명한 경제학자 케인스는 단기 투자 전략을 미인선발대회에 비유했다.

    ... 더 보기

    🤖 최초의 AI 브라우저, Dia 직접 써봤습니다! 🌐

    ... 더 보기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730


    특히 AI·바이오·우주항공 등 기술 난도가 높은 분야에선 검증된 경력직 심사역이 희소하기 때문에, 수억원의 연봉을 제시하는 오퍼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평가다. 

    ... 더 보기

    "부르는 게 값"…VC업계, '즉시 전력감' 심사역 모시기 경쟁

    www.investchosun.com

    "부르는 게 값"…VC업계, '즉시 전력감' 심사역 모시기 경쟁

    < 왜 나는 그때 그 선배의 말을 듣지 않았을까? >​

    1. 모든 학습 곡선에는 같은 패턴이 있다. 어떤 분야의 초보자가 있다고 하자. 이제 몇 가지 지식을 배운다. 그럼 마치 그 분야를 완전히 이해한 것처럼 느낀다. 누구나 0점에서 80점까지는 쉽다. 문제는 80점부터다. 전문가의 영역이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