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급하게 조언을 하려는 습관에서 벗어나세요> 1. 사람들은 자신에게 떠오르는 첫 번째 아이디어가 '이 정도면 괜찮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한다. 물론 일부 상황에서는 진짜 첫 번째 아이디어가 괜찮은 생각일 수 있다. 하지만 매번 그런 것은 아니다. 2. 그런데 리더가 성급하게 문제에 대해 조언하려고 하면 본인의 (구린) 첫 번째 아이디어를 전달하게 되고, 이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뿐 아니라, 구성원에게 공감을 얻기도 어렵다. 3. 다시 말해, 리더의 성급한 조언은 구성원을 수동적으로 만들뿐 아니라, 현실적으로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구린 해결책일 확률이 높다. 4. 그러니 성급하게 조언하려고 하지 말고, 어떤 문제가 왜 문제가 있는지, 그리고 리더가 이 문제에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구성원에게 전달하고, 함께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을 설계하는 게 훨씬 더 중요할 수 있다.

[View & Outlook] 리더가 `조언의 함정`에 안빠지려면 직원에 해결책 제시 말고 질문하라

n.news.naver.com

[View & Outlook] 리더가 `조언의 함정`에 안빠지려면 직원에 해결책 제시 말고 질문하라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6월 18일 오전 12:3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저는 책을 끝까지 읽지 않습니다 >

    1

    ... 더 보기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490


    이직하고 싶을 때 보세요

    ... 더 보기

    - YouTube

    youtu.be

     - YouTube

    < 인생을 바꾸는 ‘큰 돌멩이’의 법칙 >

    1. 스티브 잡스는 매일 아침 거울 앞에서 스스로에게 물었다. 오늘이 내 삶의 마지막 날이라면, 지금 이 일을 계속할 거냐고.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1 • 조회 955


    개발자 교양 팟캐스트

    A

    ... 더 보기

    “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조선일보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